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 창업자의 창업지원이 창업역량과 창업만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3

영문명
The effect of entrepreneurs start-up competency and start-up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tart-up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발행기관
단국대학교 글로벌벤처전략연구소
저자명
김도희(Kim do hee)
간행물 정보
『Entrepreneurship&ESG 연구』제1권 제1호, 92~117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업은 청년 실업 문제의 해결의 핵심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부의 창업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창업지원이 실제 청년층의 삶의 만족에까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창업지원이 창업역량강화와 창업만족을 통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창업자의 특성인 내재적 동기가 창업역량과 창업만족 관계에서 조절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이하 GOMS)’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2를 활용하여 변인간의 관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모델 6를 이용하여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창업지원은 창업 역량과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창업만족에 정(+)의 영향이 밝혀졌으며 창업만족은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창업역량과 창업만족 사이에는 내재적 역량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삶의 만족 모형(SCCT)에 기반해 검증하여 창업역량과 창업만족, 내재적 동기의 중요성이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창업지원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Start-ups are becoming the core of solving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and start-up support is expanding accordingly. However, research on whether start-up support actual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start-up support affe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strengthening start-up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for young people, and to confirm whether the intrinsic motivation, a characteristic of a founder,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The panel data of the College Graduates Job Mobility Survey (hereinafter referred to as GOMS) were used, and the relationship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 an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6.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start-up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tart-up competency and life satisfaction, but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control effect of intrinsic competency between start-up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path through which start-up support affects life satisfaction is verified based on the Life Satisfaction Model (SCCT), revealing the importance of start-up competency, job satisfac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can g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start-up support polic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희(Kim do hee). (2021).청년 창업자의 창업지원이 창업역량과 창업만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Entrepreneurship&ESG 연구, 1 (1), 92-117

MLA

김도희(Kim do hee). "청년 창업자의 창업지원이 창업역량과 창업만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Entrepreneurship&ESG 연구, 1.1(2021): 92-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