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권과 기독교 영성의 관계에 대한 고찰

이용수  6

영문명
A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Christian Spirituality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권진구(Jin Gu Kwon)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45집, 147~17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가 사회 그리고 공동체에서 인권의 개념이 법적으로 성문화되고 적용되기까지는 길고 고단한 과정이 있었다. 권리의 역사는 기독교의 역사와 기독교적 사상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기독교 신학, 사상과 영성이 권리를 법적으로 가시적이며 유효하고 실제적인 가치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한 핵심 요인이었다고 할 수는 없다. 일단의 기독교 단체와 개인들은 냉전 시대를 전후해 민주주의와 보편적 권리를 위해 투쟁한 반면 기독교 자체는 서구 역사 전반에 걸쳐 권력자와 특권 계층의 가장 강력한 협력자였다고 말할 수 있다. 과거 기독교인들은 서구 사회에서 정치, 사회, 윤리, 종교적 문제에 있어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기독교적인 가치와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을 차별하고 억압했다. 지금도 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여러 국가의 기독교인들은 다양한 사람들을 그들이 선천적으로 혹은 후천적 선택에 의해 지니고 있는 다름을 이유로 차별하고 있다. 그러한 다름의 종류는 인종, 성(sex와 gender), 종교, 정치적 성향, 성적 지향, 경제 수준, 문화, 장애, 교리와 믿음 등 다양하다. 영적인 기독교인들이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것은 기독교 영성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기독교 영성이 추구하는 화해, 연합, 일치, 평화, 나눔 그리고 사랑 등의 가치와 그에 대한 실천은 타인을 억압하고 그들의 권리를 무시하면서는 실현할 수 없는 가치들이다. 이러한 문제를 위해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타인들에게서 하나님의 형상을 보는 것이 영성 실천 또는 훈련의 한 목적이 되어야 하며 그리스도의 형상을 기독교인인 우리 자신들에게서 실현시켜 우리가 속한 사회 속에서 타인의 권리를 위해 힘쓰도록 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영성 훈련의 또 다른 목적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영적인 기독교인들에게 ‘기독교인으로서 고귀한 영적인 목적을 위해 자신의 권리와 자유를 포기하고 희생하는 것을 감수했듯이 타인들에게서 하나님의 형상을 보는 것과 우리 안에서 그리스도의 형상을 실현하는 것이 영적인 목적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영적 목적을 위해 권리와 자유를 포기할 수 있는가?’를 묻고 있다.

영문 초록

Human rights have undergone an arduous process to be written and be practiced legally in human societies. The history of human rights has a noticeable relationship with Christianity and Christian thoughts although Christian theology, thoughts, and spirituality are not the main factors that made the rights visible and valid. Some Christian groups and individuals fought for democracy and rights es-pecially during the Cold War while Christianity has been the strongest friend of the powers and the privileged throughout history. Christian churches still practice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ho have differ-ent origins and orientations of various kinds.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s should consider seeing the image of God in others as their new spiritual goal for their spiritual practice as the image of God in others has not been recognized by Christians for a long time and that actualizing the image of Jesus in Christians in societies as another spi-ritual goal for their spiritual practices. This study asks: Can Christians renounce their freedom and rights for others as Christians have done this for their spiritual goals?

목차

I. Introduction
II. A Short History of Rights
III. Rights and Christian Spirituality
IV. Conclusion: A Spiritual Goal and the Spirituality of Dignity and Righ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진구(Jin Gu Kwon). (2016).인권과 기독교 영성의 관계에 대한 고찰. 기독교교육 논총, 45 , 147-179

MLA

권진구(Jin Gu Kwon). "인권과 기독교 영성의 관계에 대한 고찰." 기독교교육 논총, 45.(2016): 147-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