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신학교육 커리큘럼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고찰
이용수 13
- 영문명
- To Envision Theological Education more Appropriate for the People and the Context of North Korea based o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 Theological Students: Focusing on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and Curriculum Issue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유은희(Eun Hee Yoo)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32집, 1~3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탈북민 신학생들과 졸업생들의 한국 신학교육 현장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쓰여 졌다. 북한을 떠났을 때의 나이가 17세 이상으로, 한국에서 3년 이상 신학교육을 받은 탈북민 신학생들과 졸업생 목회자들 1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과거 북한에서 사회화했던 문화적 준거의 틀과, 한국 신학교에 들어오기까지 선행경험, 현재 남한 사회에 거주하는 탈북민으로서의 독특한 사회적 위치를 고려하여, 이들의 학습경험을 살펴보았다. 또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현재 탈북민 목회자와 기독교 지도자의 양성과 잠재적으로는 미래에 북한에 세워질 신학교육에 대한 다양한 제안을 들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수-학습 방법과 커리큘럼에 관한 연구결과들에 주목하였다.
영문 초록
The qualitative research from which this article is written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a group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acquiring theological education in South Korea. Eighteen students and graduates (hereinafter “consultants”) were interviewed to gain understanding of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e research concern was three-fold: (1) to examine ways in which the consultants’ cultural frames of reference and life experiences prior to coming to theological education affect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2) to understand how their current unique social location affect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and how it involved positioning and negotiation and construction of identities; and (3)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their experiences as a means for preparing for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will be established in North Korea. Bodies of literature that framed this study were adult education theories including transformative learning and situated learning, theological education, and North Korean studies. The naturalistic inquiry postures were adopted. This article presents findings only pertaining to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and curriculum issu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토론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계적 자아 정체성 개발을 위한 리꾀르의 Narrative 정체성 이론 연구
- 어린이의 신학적 질문에 기초한 영성교육
- 미래 마인드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 청소년의 교회공동체 적응성 측정도구
- 공관복음서의 어린이에 관한 예수말씀을 통해서 본 “어린이 신학 ”의 과제
-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신학교육 커리큘럼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고찰
- 통전적 기독교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 스마트 러닝으로서 계절 성경캠프 사례 연구
- 제롬 베리맨(Jerome W. Berryman)의 어린이영성교육 연구
- 한국교회 교단교육의 정책과 수행 비교연구
- 신앙교육을 위한 교육방법론 연구
- 성찰활동이 예비기독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퍼펫을 활용한 가족 놀이치료 단일 사례연구 : 이혼 가정을 대상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작은 교회 연합 기독교교육 사례 연구
- 한국 장로교(예장통합) 가정예배의 교육학적 이해와 대안적인 교육목회적 실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기독교 동아리 운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