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생물을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법에 대한 동향연구
이용수 50
- 영문명
- Brief Review on Microbial Enhanced Oil Recovery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오경석(Kyeongseok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4호, 1010~1019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전에 매장된 석유는 1차, 2차, 그리고 3차에 걸쳐 회수된다. 3차 회수로 분류된 공법 중 미생 물을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법은 크게 in-situ와 ex-situ 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In-situ 공법은 미생물을 저류층에 직접 투입하여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통한 원유의 회수를 유도하는 공법이다. 대사물질 중 바이오 계면활성제는 저류층 잔존 유분의 유동화에 큰 역할을 한다. 한편, ex-situ 공법은 외부에서 미생물의 대사 물질을 추출하여 저류층에 투입하여 원유를 회수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 공법 모두 친환경적이지만, 보다 경제적인 in-situ 공법이 선호된다. 미생물을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법은 오랜기간 검토되었음에도, 현재까 지도 파일럿 규모에서 여전히 평가가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in-situ 공법에 적용가능한 미생물 중박테리아의 종 특성과 대사물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Petroleum oil in reservoir has been acquired by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oil recoveries. Microbial enhanced oil recovery (MEOR) classified to tertiary oil recovery has been evaluated in two ways of in-situ and ex-situ options. In-situ MEOR injects microbes into a depleted oil reservoir and stimulates those to generate metabolites. Among metabolites, biosurfactants play an important role to make heavy residues flow. Ex-situ MEOR injects microbial metabolites instead of microbes into a reservoir to recover oil. Even though both in-situ MEOR and ex-situ MEOR are eco-friend processes, in-situ MEOR can be preferred because it is more economic. Even though MEOR have been evaluated for a long time, it is still in the state of evaluating in a pilot-scale. Among microbes, bacteria have been widely evaluated in MEOR purpose. In this paper, bacteria for MEOR were summarized and their metabolites were qualitatively evaluated.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고 찰
4. 요 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폐활량에 대한 기초체력과 신체활동량의 관계
- 니파팜, 핑거루트 추출물을 함유한 O/W 화장품 제형 개발 및 분석
- 16주간의 복합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혈중 도파민 농도, 기능적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antothenic acid의 피부 투과 개선을 위한 고형지질나노입자설계 연구
-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비만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과 운동자기효능감이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 비만 초등학생의 4주 여름 건강증진캠프 참여가 대사증후군 및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효과
-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의식 연구
- 청소년의 그릿, 자기결정성, 긍정심리자본, 관계성 지지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열정에 미치는 영향
- 초보간호사의 월경곤란증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축구화 브랜드의 3i 모델 효과성 검증
- 뷰티 인플루언서 특성이 20-30대 여성 소비자의 메이크업행동 및색조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8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이 대학 태권도 시범선수의 순발력, 동적 평형성 및 관절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
- PETTLEP 모델 기반 심상훈련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및 수행능력, 자율실습 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 70점 체육교사의 삶과 고백
- 10주간 스마트머신 순환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조성, 폐기능, 혈중지질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임금근로자의 우울과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 수용액에서 Sodium hyaluronate와 Alkanediyl-bis(dimethylalkylammonium bromide) 계면활성제의 회합성질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이 전공만족도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스쿼시 백핸드 백월 보스트 샷 운동학적 변인 비교 분석
- 헤어서비스전문가의 블랙컨슈머 행동지각이 정서적 소진 및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Cetyl alcohol 함량에 따른 크림 제형 Henna 천연 염모제의 안정성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 확성, 의사소통만족도, 보고자신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 다시마 추출물의 손상모발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 양이온성 계면활성제(DTAB, TTAB 및 CTAB)에 의한 4-할로겐화 아닐린의 가용화에 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학습 동기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 미생물을 이용한 원유 회수증진법에 대한 동향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