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diction of Smoke Risk Ratings in the Combustion of Some Wood and Plastic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유지선(JiSun You) 정영진(Yeong-Jin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5 No.4, 15~2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에서는 잣나무(pinus koraiensis, nut pine)와 갈참나무(quercus aliena, white oak) 그리고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과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PMMA)를 선정하여 ISO 5660-1의 기준에 따라 콘칼로리미터(conecalor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으로 Chung’s equations 1 (연기성능지수, SPI), Chung’s equations 2 (연기성장지수, SGI)에 의한 연기 위험성을 예측하고자 하였고, 이를 확장하여 화재 시 연기 위험성 평가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기준물질(PMMA)을 사용하여 Chung s equations-V (연기성능지수-V, SPI-V와 연기성장지수-V, SGI-V)와 Chung sequation-VI (연기위험성지수-VI, SRI-VI)에 의한 연기 위험성을 등급화하여 평가하였다. SPI-V는 nut pine 0.73으로 가장낮았고, PE가 37.22로 가장 높았다. SGI-V에서도 PE가 0.03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 연기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물질이고,nut pine이 10.0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SRI-VI는 PE (0.00) < PMMA (1.00)< white oak (1.44) << nut pine (13.70)의 순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PE의 연기 위험성이 가장 낮고, nut pine의 연기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목재의 연소가 플라스틱류보다 불완전한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pinus koraiensis (nut pine) and quercus aliena (white oak) and polyethylene (PE) and polymethylmethacrylate (PMMA) were selected. And it was measured with a cone calorimeter in accordance with ISO 5660-1. Withthe measured values, it was intended to comprehensively predict the risk of smoke by Chung’s equations 1 (smokeperformance index, SPI) and Chung’s equations 2 (smoke growth index, SGI). To standardize fire hazard assessment in caseof fire by extending this, standard materials (PMMA) were used to classify the smoke risk by the Chung s equations-V(smoke performance index-V, SPI-V and smoke growth index-V, SGI-V) and Chung s equation-VI (smoke risk index-VI,SRI-VI) to evaluate it. The SPI-V was the lowest with nut pine of 0.73 and the highest PE was the highest with 37.22. In the SGI-V, PE was the material that produced the least smoke with the least amount of 0.03. Nut pine is expected togenerate a large amount of smoke with the highest at 10.00. SRI-VI, it appeared in the order of PE (0.00) < PMMA (1.00)< white oak (1.44) << nut pine (13.70).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PE had the lowest smoke risk and nut pine had thehighe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combustion of wood was done in an incomplete form than that of plastics.
목차
1. 서 론
2. 실험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극 재료에 따른 AC 직렬 아크방전의 리스트라이크 패턴 및 방사 스펙트럼 분석에 관한 연구
- 외근직 소방공무원의 반복적 사망사고 노출 경험과 극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화재 조건의 액체풀 표면 위 액적 충돌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전동기 제어반 내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접촉기의 무선 열화 감지 시스템 개발
- 4파장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불꽃감지기 개발
- 우리나라 소방용품 시장 예측모형에 대한 연구
- 일부 목재와 플라스틱류의 연소 시 연기 위험성 등급 예측
- 소방시설 자체점검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경질 플라스틱 가연물에 대한 기하학적 특성 및 구성 재료를 고려한 열방출률 곡선의 모델화에 관한 연구
- 소방공무원과 응급구조학과 재학생들의기초의학 교과목에 대한 요구도 비교 분석
- 2유체미립화기의 미분무를 이용한 복사열 감쇠에 대한 실험적 연구
- UL 268 목재 화원을 이용한 실화재실험 및화재시뮬레이션 비교 연구
- 국내 연구논문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수소충전소 연구개발 동향
- 소방차량용 고압, 대유량 소방펌프 성능시험시스템 구축 필요성 검토를 위한 국내 · 외 기술기준 비교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 리튬이온배터리화재 대응방안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실규모 화재진압실험
-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과 문해력 함양과 복합양식 텍스트 독서 연구
- 융합교육 문헌 고찰을 통한 유아융합교육과정 제안
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