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자체 SNS 정보특성이 긍정적 감정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75

영문명
The Effects of Local SNS Characteristics on Positive Emotions and Intention to Visit: Focusing on Local Food Information
발행기관
한국식공간학회
저자명
김동휘(Kim, Dong-Hwi)
간행물 정보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16권 2호, 41~5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자체 SNS 정보특성이 정보이용자들의 긍정적 감정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2021년 4월 1일부터 4월 16일까지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지자체 SNS 음식 정보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남자/여자 전체 22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응답에 응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4부를 제외하고, 총 196부를 가설 검증을 위해서 사용하였다.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지자체 SNS 정보특성의 하위요인을 신뢰성, 오락성, 상호작용으로 분류하였다. 긍정적 감정과 방문의도는 단일차원으로 규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지자체 SNS 정보특성을 구성하고 있는 신뢰성, 오락성, 상호작용은 정보이용자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제시된 가설 1은 채택되었다. 정보이용자의 긍정적 감정은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제시된 가설 2도 채택되었다. 마직막으로 지자체 SNS 정보특성을 구성하는 요인 중 신뢰성, 오락성만이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 또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이 연구는 지역적 차원에서 지자체 SNS 정보특성을 관리하는 것이 경쟁력을 갖춘 마케팅 도구의 원천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지역에서 SNS 정보를 담당하고 있는 관리자는 잠재적 고객들에게 흥미로운 정보들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끝으로 이 연구는 SNS를 이용한 마케팅 관리 측면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ocal SNS characteristics, positive emotions and intention to visit. To perform this study, total 2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ale and female consumers who had experienced local SNS providing food information by google questionnaires system dated from April 1 to April 16. As unworkable data were excluded, 196 usable responses were obtained for an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program, accordingly. For the study structure, local SNS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rust, entertaining, interaction. Positive emotions and intention to visit were single factors. The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Hypothesis 1, among local SNS characteristics, all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s. On the Hypothesis 2, positive emo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On the Hypothesis 3, trust and entertaining among local SNS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visit. This study has found that managing local SNS characteristics can be a source of competitive marketing tools in the local level. In particular, administrators responsible for SNS information should have their strategy for providing potential customers with an access to interesting information. This suggests operation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n the aspects of SNS marketing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휘(Kim, Dong-Hwi). (2021).지자체 SNS 정보특성이 긍정적 감정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융합연구, 16 (2), 41-58

MLA

김동휘(Kim, Dong-Hwi). "지자체 SNS 정보특성이 긍정적 감정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식공간융합연구, 16.2(2021): 4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