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조선과 주변지역 옛 사람 및 동물뼈 연구를 위한 고고과학적 연구방법론 검토

이용수  343

영문명
A review on the Archaeological Science and its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Ancient Human and Animal Bone remains discovered in Gojoseon and its Surrounding Area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고아라(Go Ara) 홍종하(Hong Jongha)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0號, 65~8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조선은 우리 역사에 나타난 최초의 국가로 한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고조선의 정확한 강역, 문화 등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아 지금까지 해당 시기 우리 옛 조상의 삶을 완전하게 이해하는 것은 힘들었다. 다행히도 최근 고고학 발굴현장에서 발견된 사람 뼈, 동물 뼈 및 식물자료와 같은 다양한 유기물 시료에 고고과학적(생물고고학적) 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보다 새로운 연구를 시도한 사례들이 세계 각지에서 속속 보고됨에 따라, 본 고에서는 고조선의 실체를 밝히는 데 이러한 연구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고조선 시기 고고학 유적에 대해 간략하게 검토해 본 결과, 유적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부 사람 및 동물 뼈와 같은 유기물 시료가 발견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비록 대부분의 현재 고조선 시료에 현재 우리나라 학자들이 접근하기 쉽지 않다는 어려움이 있으나, 최근 중국에서 다양한 고고과학적 검토가 수행되고 있는 바, 향후 이러한 분석 결과들이 더 많이 보고된다면 고조선의 실체를 명확히밝힐 수 있는 날이 올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고조선을 한국사의 영역에 좀 더 명확히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한반도 내 신석기/청동기 유적 등에서 출토된 사람 및 동물 유체 등 유기물 시료에대한 과학적 분석을 더욱 면밀히 수행하여 고조선 자료와 비교/검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획득하는 것이 앞으로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Gojoseon is the oldest country in Korean history with according enormous significance.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lives of our ancestors at that time, primarily due to little acquaintance on the exact territorial border and culture of the country. Fortunately, many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around the world by performing various scientific researches on archaeological specimens such as human bones, animal bones and plants with advanced techniqu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how such studies could be applied for the purpose of revealing the ancient territory and the culture of Gojoseon. A brief review of archaeological remains dated to the Gojoseon period confirmed the excavations of organic specimens such as human and animal bones with varying aspects depending on the site and region. Despite of a limited accessibility on the Gojoseon samples currently confronted with, various archaeological reviews have been conducted in China rec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existence of Gojoseon could be clarified if similar findings are reported more in the future. Nevertheless, in order to represent the definite presence of Gojoseon in the Korean history, it will be necessary to attain fundamental data from scientific analysis on organic materials obtained from Neolithic and Bronze Age sites in the Korean Peninsula for further comparison and reviews with the equivalent data from proven Gojoseon samples.

목차

Ⅰ. 머리말
Ⅱ. 고고학 시료에 사용되는 고고과학적 기법
Ⅲ. 고조선 유적에서 보고된 생물고고학 시료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아라(Go Ara),홍종하(Hong Jongha). (2021).고조선과 주변지역 옛 사람 및 동물뼈 연구를 위한 고고과학적 연구방법론 검토. 백산학보, (120), 65-89

MLA

고아라(Go Ara),홍종하(Hong Jongha). "고조선과 주변지역 옛 사람 및 동물뼈 연구를 위한 고고과학적 연구방법론 검토." 백산학보, .120(2021): 65-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