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영·유아교사의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출산관련 속신 탐색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Folk Beliefs Related to Childbirth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저자명
김은경(Kim, Eun Kyung)
간행물 정보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71~8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과 함께 전통문화교육매체의 다양성을 추구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이를 위해 출산관련 속신의 내용과 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속신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등을 통해 속신의 개념과 특징, 종류 등을 파악하였다. 둘째, 출산관련 속신을 추출하여 출산 전(태몽, 임신, 태살)과 출산 후(금줄, 금기행동, 이름 짓기, 삼칠일, 백일, 돌)로 나누어 속신의 내용을 정리하였다. 셋째, 정리한 속신의 내용이 영유아발달이론과 함께 전통문화교육을 실행하기에 무리가 없는지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받은 후 연구대상 속신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태내기부터 영아기 속신의 대부분은 자식에 대한 ‘사랑’을 기저로 한 부모님의 인내와 희생을 필요로 하고 있다. 둘째, 어머니와 아기, 어머니와 아버지, 가족, 마을사람들 모두 속신이라는 매체를 통해 소통하며 공동체 규범을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 영·유아교사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과 함께 전통문화교육매체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to seek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al media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preservice-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also to seek for the diversity of education media for traditional culture. For this, this study set up a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exploration of contents of folk beliefs related to childbirth and the educational meanings. In the research methods, first,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folk beliefs were understood through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folk beliefs. Second, the contents of folk beliefs were organized by extracting the folk beliefs related to childbirth, and then dividing them into before childbirth(dream of conception, pregnancy, avoidance of bad spirits to fetus) and after childbirth(straw rope, taboo acts, naming, twenty-first day of life, hundredth day of life, first birthday). Third,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organized contents of folk beliefs in the aspect of carrying out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ogether with the theory of young children development, the educational meanings of folk beliefs as the research subject were explor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most of the folk beliefs from prenatal period to infancy require parents’ patience and sacrifice based on ‘love’ for their children. Second, everyone such as mother and baby, mother and father, family, and village people communicate through media, and practice community nor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increas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also seeking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al media.

목차

Ⅰ. 서론
Ⅱ. 속신의 이해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Kim, Eun Kyung). (2021).예비 영·유아교사의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출산관련 속신 탐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5 (2), 71-89

MLA

김은경(Kim, Eun Kyung). "예비 영·유아교사의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출산관련 속신 탐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5.2(2021): 7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