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communicative language classes in non-face-to-face lectures: Focusing on video lecture and real-time lecture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부남(Park, Punah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3권 2호, 107~1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on non-face-to-face communicative English language learning conducted in a univers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direction of effective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approaches by investigat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the two online teaching types:Asynchronous pre-recorded ‘Video lecture and synchronous ‘Real-time lecture’. This study used bot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o examin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of 114 university students (58 students for Video lecture/56 students for Real-time lecture) taking an online general English convers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in the Video lecture was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n that in the Real-time lecture. The students in the Video lecture perceived that the class is effective in terms of ‘interest in learning’ ‘concentration on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ents in the real-time lecture were satisfied with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while they revealed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e technological issues with small group online activities. In terms of language learning, the Video lecture was helpful to improve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skills while the Real-time lecture was helpful to improve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200 word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안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대면 수업(real-time class)
비대면 수업(non-face-to-face class)
비실시간 비디오 강의(asynchronous video lecture)
실시간 화상 강의(synchronous real- time lecture)
의사소통 언어학습(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real-time class
non-face-to-face class
asynchronous video lecture
synchronous real- time lecture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어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인식과 과제
- How Do EFL University Learners Use Vocabulary Knowledge in Extensive Reading Classes?
- 어휘와 문법지식이 개별 출력중심 딕토글로스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의사소통 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
- 아동문학 활용 리터러시 활동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기능과 발화에 미치는 영향
- 최근 6년 간의 수능 영어 듣기평가 어휘 분석
- 대학 영어 강독 수업에서의 요약하기 활동과 독해 전략에 관한 연구
- 협력 학습과 동료 첨삭을 이용한 요약하기 과업의 활용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