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essing the roles of lexical and syntactic knowledge in individual output-based tasks using dictogloss protocols: Focusing on EFL learners at a university setting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유선(Shin, Yousun)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3권 2호, 131~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mainly two-fold. First, it is to analyze the cohesion characteristics,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of the writing tasks, which English learners produced using dictogloss protocols. The second aim is to identify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lexical and grammatical knowledge to the writing products yielded by the participants. For this purpose, 45 English learners at a university completed four different tests and then completed two types of dictoglass tasks with two different topics over four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web-based analysis software called Coh-Metrix.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in the group with higher vocabulary scores yielded higher mean scores in all six dependent variables within three categories of fluency, lexical complexity, and grammatical complexity. Of six dependent variables, three measures of Total Word Count, Latent Semantic Analysis, and Average Sentence Lengt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comparison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was found regarding the category of lexical complexity. With relative contributions of lexical and grammatical knowledge, both vocabulary tests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learners’ task performance. However, only one grammar test - error identification test - was analyzed as a variable that affected task performance. (203 word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어 교육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대한 인식과 과제
- How Do EFL University Learners Use Vocabulary Knowledge in Extensive Reading Classes?
- 어휘와 문법지식이 개별 출력중심 딕토글로스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의사소통 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인식
- 아동문학 활용 리터러시 활동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 기능과 발화에 미치는 영향
- 최근 6년 간의 수능 영어 듣기평가 어휘 분석
- 대학 영어 강독 수업에서의 요약하기 활동과 독해 전략에 관한 연구
- 협력 학습과 동료 첨삭을 이용한 요약하기 과업의 활용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설계 및 적용
- 증강텍스트 읽기 수업에 대한 독자의 흥미 연구
- 공통국어 1 수행평가의 문제 양상 분석 - 수행평가의 내실화와 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