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atus of Boycotts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 Through Coverage from Seven Daily Newspapers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고지현(JiHyun Ko) 양세정(SeJeong Yang)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09호, 377~40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에 대해 보도한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가 미흡한 성인지감수성 관련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담론의 출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와 언론사 홈페이지를 통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 7개 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경향신문>, <국민일보>)에 보도된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 기사 158개를 추출하여 연도별 불매운동 발생 건 수, 불매운동 발생 원인, 성인지감수성 논란 원인 등의 분류를 통해 불매운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 기간 동안 발생한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은 총 52건으로, 매해 보도된 사안의 개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안별 언론보도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의 논란 원인별(성차별, 성폭력, 성별고정관념)로 분류한 결과, ‘성별고정관념’으로 인해 발생한 불매운동이 6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성차별’, ‘성폭력’의 순이었다. 하지만 언론보도의 경우 ‘성폭력’ 관련 기사가 논란 당 평균 4건의 기사가 보도되며 다른 항목들보다 높게 나타나, ‘성폭력’ 문제에 기인한 불매운동이 보다 이슈화 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불매운동의 방식은 대부분 시민단체의 개입 없이 소비자 ‘자발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온라인에서의 불매운동 실행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를 통해 소비자운동의 방향이 개별적으로 집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불매운동의 실행단계별 양태를 분석한 결과 ‘불매운동 실행’ 단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불매운동 조직’ 단계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여 관련 불매운동의 경우 주로 직접적인 조직화를 구축하지 않아도 집단적 불매운동 실행이 가능한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식은 문제되는 콘텐츠의 폐기와 같은 ‘직접적 조치’를 취한 후속조치 비중이 가장 높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7개 일간지에서 공통적으로 다룬 기업에 대해 불매운동 전후의 매출변화를 살펴본 결과 이들 모두 불매운동 이후 최소 6개월 간 매출 하락세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boycott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in Korea, and to present the starting point of discourse on gender sensitivity related issues in the consumer market. For this purpose, 158 articles reported in seven domestic dailies(Chosun Daily, JoongAng Daily, DongA Daily, Hankyoreh, Hankook Daily, Kyunghyang Daily, Kukmin Daily) over the past six years from 2015 to 2020 have been se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as collected thorough “Big Kinds(news big data analysis system)” and each media’s webs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52 boycotts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have occurred over the past six years. The number of boycotts occurring every year is not much different, but the number of media reports is gradually increasing. Second, the boycotts were classified by the cause of controversy over gender sensitivity(sexism, sexual violence, and misogyny), and the amount of media coverage was highest in case of sexual violence issues. Third, consumer-oriented boycotts without civic group intervention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Fourth, the stage of running the boycott was the highest and organizing the boycott was the lowest. Fifth, among companies’ response methods, the follow-up that took action directly, such as scrapping problematic content, was the highest. Finally, in the case of the boycott, which was announced in all seven daily newspapers, all of the companies saw their sales decline for at least six months after the boycott.
목차
I.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괄적 성·재생산 건강보장을 위한 보건의료체계의 과제: 임신중지를 중심으로
- 기본소득과 돌봄노동: 누구의 시간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 적극적고용개선조치(AA) 제도변화의 여성고용 효과
- 육아 휴직 이후 무슨 일이 있었을까?: 젠더효과와 고용유지를 중심으로 본 심층면접 분석
- 페미니즘과 남북관계: 북향여성을 중심으로
- 20~30대 여성의 일상속 미묘한 성차별경험과 우울, 전위공격성의 관계: 자기침묵과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 현황 분석: 일간지 보도내용을 중심으로
- 공무원의 젠더 감수성 변화과정 연구
- 배우자 사별 여성 노인의 다차원적 사회적 배제 유형과 우울
- 북한이탈여성에 관한 질적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 유자녀 기혼여성의 청소년기 가정환경과 출산행동의 관계: 가족가치관과 결혼만족도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1970년대 사업장 가족계획사업이 여성노동자 의식에 미친 영향
- 민간부문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돌봄 서비스제공에 대한 질적연구
- 스웨덴 인구 담론 전환이 한국 저출산 정책에 주는 함의: 뮈르달 부부의 인구정책 구상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