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돌봄을 통한 신장장애인 가족의 장애경험 사례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Family Experience of Disability through Caring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민희(Kang, Min-Hui)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1권 제1호,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목하지 못했던 신장장애인가족의 문제를 이해·분석하여 이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정책적·실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고민해보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학문적 시도이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하여 모두 10명의 신장장애인 가족이 참여하였으며, 심층면접을 자료모집의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는 사례연구방법에 기초하여, 질환발생 이후 장애인당사자의 투석과정을 따라 탐색되었으며, 장애인 가족이 당사자와 함께 하는 경험을 가족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왜’ ‘어떻게’를 중심으로 참여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은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신장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을 사례 간 비교분석한 결과, ‘병의 시작’, ‘우울의 늪’, ‘지원 체계’, ‘삶의 지속’, ‘가족의 재구축’으로 5가지의 중심주제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중심주제에 따라 신장질환을 인지하는 단계에서부터 투석과 이식 등의 과정을 통해 돌봄을 수행하는 가족의 경험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raw attention to the problems that society has not yet noticed the importance. Various Problems families of people having renal disease face in their caring-life are the ones. Method: For this study, 10 peopl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analysed through the methodology of qualitative case study, categorized into 5 main themes: ‘the beginning of disease’, ‘falling into a swamp of depression’, ‘continuing life’, ‘reconstruction of family’. The data before analysis were repeatedly considered alongside the understandings and the experiences that family members have with their patient family member. Results: For the analysis, the author especially gave notice to the fact that the family experiences of renal disease begins with medical symptoms but continues with relational,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Conclusion: In-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were performed to find commons and differences among ca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AC 활용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지체장애 특수학교 교사의 AAC 지식 및 적용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지체장애인의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 탐색
- 임금근로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용 행동 평정 척도의 개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연구
-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와 교수적 수정에 대한중요도 및 실행도 중심의 교사 인식 문헌분석
- 근거이론에 기초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미술교사의 경험분석
- 특성화 고등학교 장애학생 직업교육에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교수 실태 및 인식 비교
- 장애 대학생의 고등교육 지원 현황 및 요구에 대한 교육 수요자 인식 연구
- 네팔 지체장애 학생의 교육 실태 분석
- 돌봄을 통한 신장장애인 가족의 장애경험 사례연구
-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증강현실 학습컨텐츠 기반의 중학교 지리 통합수업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전략
- 상담, 자문, 기관지원이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학개론 교직과목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 훈련을 통한 예비 일반교사의 인식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