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및 운영 실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n State of Contents and Operation of the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일(Kim, Don-Gil) 백서연(Beak, Seo-Yeon) 고혜정(Koh, Hye-Jung)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7권 제4호, 49~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운영, 개선방향에 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얻어진 질적자료를 분석하여 특수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KrKwic 단어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질적자료의 단어를 범주화시킨 후, 위계화하여 핵심어와 주요 이슈를 파악하여 관계에 관한 개념도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위해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수준 확대 및 세분화,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보급, 자율적인 교육과정의 운영, 구체적인 국가수준 지침의 제시, 교육여견의 보장 등이 이루어져야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operating state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ontents and operating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open question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field voices of specia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general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fter categorizing the words of the qualitative data, utilizing KrKwic word analysis program , a concept-map was presented about relationships by identifying key words and key issu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ults, for effectiv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segmen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school-curriculum, and specific nation-level guidance are requir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장애학생의 생활지도실태 및 지원요구 분석
-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내용 및 운영 실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 장애학생 부모상담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요구
- 지체장애성인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 문해 능력 간의 관계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인의 여가생활양식과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의 관계
- 지체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접근성 평가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 비의무적 말차례 주고받기 기술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관련 문헌분석
- 다층화 절차를 활용한 스마트폰 모델링이 발달장애학생의 주거자립기술에 미치는 효과
- Rasch 모형을 통해 살펴본 산재근로자용 다차원심리검사 단축형의 심리측정학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