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작성과 운영과정에 대한 미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Factors Related to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of the IEP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홍사훈(Hong, Saa-Hoon)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3권 제1호, 179~1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의 작성과 운영과정에 대한 미국 특수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IEP의 작성과 운영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네소타 주 191명의 IIEP 담당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IEP 담당 특수교사가 31%, 고등학교 20%, 중학교 17%, 유치원 8% 순이었다. IEP의 작성과 운영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특수교사변인, IEP 작성방법, IEP 팀 협력, IEP 작성과 운영을 지원하는 컴퓨터와 IEP 소프트웨어를 독립변인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결과는 IEP 작성 방법, 팀 구성원들 간의 협력, 현재 사용하고 있는 IEP 소프트웨어에 대한 만족도가 IEP 작성과 운영과정에 대한 특수교사의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IEP의 실제를 개선하려 노력하는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에도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IEP 소프트웨어 개발과 보급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특수교사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IEP 작성과 운영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191 special educators with their IEP process. Thirty one percent of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orked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followed by high school level(20%) and middle school (17%). All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either a positive group or a comparison group. The positive group included special educators who expressed their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amount of time to write IEPs and ability to write effective Present Level of Education Performances(PLEPs), goals, and objectiv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to identify factors that distinguished two groups. The result identifies variables that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satisfaction with IEP process. These variables are following: (a) satisfaction with the method by which I write IEPs, (b) communication among IEP team members is open and receptive, (c) the formal communication system within IEP teams assures collaborative monitoring and responses to student performance, and (d) I feel confident in the use of my current IEP software. Implication for Korean special education was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학급 학생의 통합교육 성공예언도
-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과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 바이오덱스를 이용한 족동운전장치 유형별 사용편의성에 대한 연구
- 후천적 장애인의 관광활동 단계 및 장애유형에 따른 제약과 만족분석
- 지체장애인의 신체의식에 따른 운동의사결정균형에 관한 연구
- 지체장애인의 자서전을 통해 살펴본 장애극복 요인에 관한 고찰
- 장애인표준사업장 근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및 직무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 소그룹 마인드 맵 중재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발달장애학생의 다중지능 발달 특성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현황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원예 활동이 지체장애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작업활동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 장애유아의 감각통합 기능 특성에 대한 주양육자와 교사의 인식
- 뇌병변장애인의 컴퓨터 대체접근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 연구
-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작성과 운영과정에 대한 미국 특수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