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금속분말을 활용한 색의 그라디언트 표현
이용수 114
- 영문명
- A Color Gradient Representation Using Metal Powder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허민주(Hur, Min-ju) 송오성(Song, Oh-sung) 민복기(Min, Bog-ki)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24집 2권, 145~1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속공예에서 색의 그라디언트를 표현하기 위한 가능성을 지닌 방법에는 표면착색, 아노다이징, 다원주조, 이종금속의 확산접합 등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자연스러운 색의 단계를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은과 구리의 분말형태를 사용하여 각 분말의 혼합비율을 7단계로 변화시키면서 원통형 금형 안에 적층하고, 추가적인 가열 없이 상온에서 압력만을 가하여 자연스러운 그라디언트를 갖는 견고한 성형체를 얻었다. 압력만으로 제작된 성형체는 절삭과 연마 같은 금속공예의 기본기법으로 성형이 가능하였으며, 그라디언트를 드러내기 위한 새로운 반지 디자인에 여러 형태로 가공되어 보석 대신 반지의 난집 구조에 세팅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영문 초록
Methods that have the potential to express gradients of color in metal crafts include surface coloring, anodizing, plural casting, and diffusion bonding of heterogeneous metals. However, traditional methods are time-consuming and costly, and there is a limit to expressing natural phase of colors. In this research, silver and copper powders were used to stack each powder in a cylindrical mold with a mixing ratio of seven steps. Then a solid green body with natural color gradients was made only under pressure at room temperature without additional heating. The pressure-only green body was possible to shape by basic metal craft techniques such as cutting and polishing. It has been processed into several forms in the design of a new ring to reveal gradients and used in such a way that it is set in the ring s bezel structure instead of gem.
목차
Ⅰ. 서론
Ⅱ. 분말시료의 조형 기초 물성연구
Ⅲ. 분말시료의 성형 및 조형적 활용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금속분말을 활용한 색의 그라디언트 표현
- 옵아트를 활용한 ‘스퀴즈(Squeeze)’형태 표현 연구
- 생태면적률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단지 외부환경 개선방안
- 동영상 콘텐츠와 모델링을 통한 ‘모빌’ 이해 능력 신장 방안 연구
- 재료공학도를 위한 금속공예 융합 교육과정 연구
- 로버트 고버의 신체조각 연구
- Analyzing Mini Animation Market in Asia
- 동대문 디자인 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라이브방송 쇼핑동기
- 먼셀색체계의 B 와 PB 색상에 대응하는 한국어 색이름 표현에 관한 연구
- 동시대 도예의 장소 특정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