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이용수 13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Comparative Analysis of Container Terminal in Busan New Port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강석한(Seok-Han Kang) 남정우(Jung-Woo Nam) 심민섭(Min-Seop Sim) 김율성(Yul-S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5권 제3호, 138~14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진해운 파산 및 해운동맹의 재정립 등으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항만공사 공시자료 및 수집된 터미널 내부자료를 바탕으로 DEA 분석 및 Malmquist 생산성 지수 모형을 활용하여 부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 5개사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컨테이너터미널 5개사의 평균 효율성은 2018년 증가하였으나 2019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Malmquist 지수를 통해 종합적인 생산성 변화를 살펴보면 A사를 제외한 모든 터미널이 생산성이 진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비 생산성의 경우 부산신항 남컨테이너터미널보다 북컨테이너터미널에 위치한 운영사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본 생산성의 경우 국적 선사인 HMM이 기항하는 D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생산성의 경우 C사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며, 선박작업 생산성의 경우 A사가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e need for analysis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Busan Port Container Terminal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Hanjin Shipping s bankruptcy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Maritime Alliance. This paper analyzes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five Busan New Port Container Terminal companies by using the DEA analysis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odel based on the port construction disclosure data and the collected terminal internal dat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verage efficiency of the five container terminals increased in 2018 but declined slightly in 2019, and the Malmquist index showed that all terminals except A have advanced productivity. Additionally, relative to facility productivity, operators at the North Container Terminal had higher facility productivity than operators at the Busan New Port Nam Container Terminal, and regarding capital productivity, the D terminal ported by HMM, a national shipping company, was the highest in facility productivity. Regarding labor productivity, the C terminal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and regarding ship work productivity, the A terminal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이론적 고찰
4. 실증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항 인센티브제의 환적경쟁력 강화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 FLBT를 향해 접안하는 LNGC의 수치해석 및 안정성 평가
- 정박 중 발생한 준해양사고 원인에 대한 통계 분석 연구
- 머신러닝을 이용한 새로운 Munk-type 쇄파파고 예측식의 제안
- 컨테이너 항만운영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분석 연구
- 울산항 위험물 환적부두 지정을 위한 폭발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에 따른 환경피해의 경제적 가치추정
- 부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및 생산성 비교 분석
- 해운사의 발생액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 선박 도착시간의 불확실성에 강건한 선석 계획
- 컨테이너터미널 장치장 점유율 추정 연구: 부산항 신항 컨테이너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공학 > 해양공학분야 NEW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5 춘계학술대회논문집 프로그램
- 선박교통관제(VTS) 신고체계시스템 표준화를 통한 AIS 연계 보고입력 시스템 구축
- 자율운항선단과 ROC간 최적의 통신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