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¹H-NMR Analysis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fter the Use of Iopamidol and Ioversol Formulations Contrast Agent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한범희(Beom-Hee Han)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4권 제3호, 239~24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ince the side effects of contrast agents occur in many ways, hospitals must clearly identify the contrast agents and know how to manage them. Storage of contrast media It is common practice to store contrast media in a warm room to reduce viscosity and improve patient comfort.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long-term storage at high temperatures can shorten the shelf life of a produc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em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fter using the contrast medium was analyzed. As the analysis equipment, a 500 MHz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of Bruker Avance (Germany) possessed by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BSI) was used. For the X-ray iodide contrast medium, Pamiray contrast medium of Iopamidol and Optiray contrast medium of Ioversol, samples remaining after 7 days, 20 days, 30 days, and 1 year were collected, By acquiring the spectrum from the 1H-NMR spectrometer of the contrast medium stimulated by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standard sample. In conclusion,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of the contrast medium, no peaks of physical and chem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both the Pamiray contrast medium of Iopamidol and the Optiray contrast medium of Ioversol after 7 days, 20 days, 30 days, and 1 year after us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MR 영상에서의 팬텀을 활용한 노이즈 감소를 위한 변형된 중간값 위너필터의 적용 효율성 연구
- 성별과 폐경기 나이가 막성골의 두께와 밀도에 미치는 영향
-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이동형 X선 투시검사 시 수술실 내 공간선량평가
- 소아 구내촬영 시 방사선량 평가 및 최적화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Criteria of Mobile Computed Tomography
- 부비동 디지털 엑스선검사에서 자동노출제어 조절인자의 최적화를 통한 조사선량 감소 효과
- 은(Ag)이온이 함유된 항균필름이 MRI에 미치는 영향
- 먹는 샘물의 방사성물질 측정 및 유해성 평가
- X선에 노출된 보리의 생장과 엽록소 측정
- 노출지수를 이용한 요추 X선 촬영의 조사야 유효성 평가
- Iopamidol과 Ioversol 제제 조영제의 사용 후 보관 기간에 따른 ¹H-NMR 분석
- Bacterial Contamination of Surfaces in an Ultrasound Room
- 유방엑스선검사 시 유방, 갑상샘, 안구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차폐체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