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희정(Hee-jeong Kim) 최유진(Yujin Choi) 이창래(Chang-Lae Lee)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4권 제3호, 231~23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ngoing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hospital hygiene and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 settings. To raise hygiene awareness among ultrasound technicians, we evaluated the hygiene status of an ultrasound room, in comparison with that of objects used in daily life. Using the swab method, the following surfaces were examined: eight surfaces in the ultrasound room including the ultrasound probes (convex, linear, sector, 3D), ultrasound track ball, ultrasound keyboard, ultrasound gel (sealed and in use) and pillow as well as four surfaces of everyday objects including subway handles, common computer keyboards, common computer mouse, and cell phones. The streak plate technique was used for inoculation into media, which was observed for the formation of bacterial colonies following incubation for 24 h. Six bacterial strains were detected from objects used in the ultrasound room, including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our strains of bacteria were detected on surfaces of everyday objects. The equipment and accessories used in an ultrasound room can act as vehicles for infecting patients.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hygiene protocols and periodic training of the staff are recommended to avoid cross-infec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T/MR 영상에서의 팬텀을 활용한 노이즈 감소를 위한 변형된 중간값 위너필터의 적용 효율성 연구
- 성별과 폐경기 나이가 막성골의 두께와 밀도에 미치는 영향
-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한 이동형 X선 투시검사 시 수술실 내 공간선량평가
- 소아 구내촬영 시 방사선량 평가 및 최적화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Establishment of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Criteria of Mobile Computed Tomography
- 부비동 디지털 엑스선검사에서 자동노출제어 조절인자의 최적화를 통한 조사선량 감소 효과
- 은(Ag)이온이 함유된 항균필름이 MRI에 미치는 영향
- 먹는 샘물의 방사성물질 측정 및 유해성 평가
- X선에 노출된 보리의 생장과 엽록소 측정
- 노출지수를 이용한 요추 X선 촬영의 조사야 유효성 평가
- Iopamidol과 Ioversol 제제 조영제의 사용 후 보관 기간에 따른 ¹H-NMR 분석
- Bacterial Contamination of Surfaces in an Ultrasound Room
- 유방엑스선검사 시 유방, 갑상샘, 안구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차폐체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