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a-bang [cafe] and literary networks as ‘Jaeya spaces’ in the 1950s and 1960s: Focusing on the ‘Myeongdong Era’ of the Literary Circles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김지윤(Kim, Jiyoon)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27집, 39~88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 that established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through the ‘Dabang’(cafe) space, which formed the ‘myeongdong era’ of Literary Society in the 1950s and 1960s.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exchange of literary people centered on Dabang , they tried to connect the network of writers in Busan refuge with the network of writers in the so-called ‘Jaeya’(out of the system) before and after.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d in the context of what kind of people interacted and what kind of genealogy it became in the “Jaeya and jaeya space,” or the space that became the base of literary researchers. Such work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movements of those in the day who resisted the power that had invaded in the absence of authority and tried to overcome the plight of the times through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nd the publicness.
목차
1. 머리말
2. 만송족 논란과 문화예술장의 재편
3. 환도 후 ‘명동시대’를 연 다방들과 문인 네트워크
4. 월남문인들과 다방
5.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