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영역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268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Practical Experience of Case Managers in the Public Sector
- 발행기관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이혜경(Lee, Hye-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제39호, 55~9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영역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통해 공공영역 사례관리 실천의 현황과 과제 및 관련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희망복지지원단 소속 통합사례관리사를 중심으로 공공영역에서의 사례관리 실천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전과 충남지역에서 3년 이상 통합사례관리사로 활동하고 있는 10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은 총 72개의 의미 단위와 9개의 하위범주, 3개 영역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주제는 ‘축적된 경험을 통한 전문직 정체성의 확립’, ‘공공영역 사례관리의 특성과 장점’, ‘지속 가능한 실천을 위한 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영역 사례관리 사업과 관련하여 일관된 정책 방향의 제시 및 통합사례관리사를 위한 법적 제도적 지위 개선, 사례관리 실천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화된 교육과 수퍼비전 체계의 현실화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actic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in-depth, an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ask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case management practice in the public sector.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s and meaning of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public sector were explored within the integrated case managers of the Heemang Welfare Support Team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study selected 10 participants who were working as an integrated case managers for more than 3 years in the Daejeon and Chungnam area. As a result of analysis of collected data, 72 semantic units, 9 subcategories, and 3 topics were derived from participants experiences. The topics ar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accumulated experience , characteristics and merits of case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 and tasks to uphold sustainable practice .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consistent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case management program in the public sector, legal and institutional status improvement of integrated case managers, institutionalized education to strengthen case management practices, and realization of a supervis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감성지능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비용 심사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국적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초등돌봄서비스기관 간 연계 관련 인식 연구
- 장애인가족의 가족갈등과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와 삶고통의 매개효과와 장애지출부담의 조절된 매개효과
-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
- 요양보호사의 치매노인케어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공공영역 사례관리자의 실천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중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 남성과 여성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