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네트워크 기반 원격수업의 상호작용성 사례 연구
이용수 442
- 영문명
- Interactivity in Distance Learning: A Case Stud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희(Eunhee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629~64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MOOC와 K-MOOC 수업의 퀴즈, 과제, 토론 게시판 등 수업 운영 전략과 상호작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업 운영방식의 차이가 야기하는 상호작용 차이에 대한 논의를 통해 원격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성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MOOC와 K-MOOC 강좌의 상호작용적 e러닝 설계와 수업 운영전략을 분석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본 사례연구를 위해 영어 학습과 관련된 K-MOOC 3강좌와 MOOC 3강좌를 선정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두 수업의 가장 큰 차이는 토론 게시판의 활성화, 퀴즈 개수, 과제 제출과 동료 피드백의 활용 여부였다. MOOC 강좌에서는 명확한 토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 퀴즈 문항이 많았으며 과제를 게시판에 올리도록 하여 동료 간 피드백을 장려하였다.
결론 한정된 교수자의 수에 비해 학생이 많은 상황에서 과제 피드백이나 실시간 일대일 피드백이 어려운 물리적 조건 등을 극복하기 위해 동료 간 피드백을 활용하고 주차별 토론 주제를 제시하는 등의 수업 운영 전략을 통하여 상호작용성을 증진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OOC and K-MOOC courses in terms of interactivity features and classroom operation strategies in order to discuss ways to improve interaction and teaching strategies in distance learning.
Methods It is a case study that analyzes the interactive e-learning design and class operation strategies of MOOC and K-MOOC courses, and analyzes the interactions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and among learners.
Results The analyses show that MOOC courses provide learners with specific discussion topics and clear guidelines along with requests to respond to other learners’ postings. Korean learners who took a K-MOOC course also posted more answers when there were specific discussion questions and guidelines. The other distinguishing feature is the number of quizzes. The MOOC courses divided each week into smaller topics and provided quizzes after each topic.
Conclusions The current results draw attention to how to promote interactivity in online courses. It is inferred that if clearer discussion questions and more quizze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in discussion forum.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강의실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중재 특성이 유아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 문학 활동을 접목한 자연체험활동의 협력적 실행연구
- 중학교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분석
- 난독증 성인이 경험한 삶에 대한 생애사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다자녀가정 아버지의 양육경험 연구
- 팬데믹 상황에서 유아교사들이 바라본 유아의 유치원 적응 과정
- 중년여성의 연극단 활동에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 탐구
- 중년기우울 여성을 위한 의미치료 연구동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 효과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응에 대한 종단분석
- 누리과정에 기초한 5세 어린이집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 네트워크 기반 원격수업의 상호작용성 사례 연구
- 포퍼 철학과 사회과 개념학습
- 코로나 팬데믹 속 대학 학습자의 비대면 성악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 중심 사전요구 조사 연구
-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현직 교사들의 해외 교육봉사활동 지원을 위한 사전교육 요구분석 연구
- 코로나-19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 실태 탐색
- 중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가 체육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을 수강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실에서 발생하는 사건이 수업으로 연속하는 현상 탐구
- 대중가요 가사를 통한 학교와 교육에의 시사점 연구
- 『학교에서의 응급의료 관리체계』 매뉴얼의 적용 실태와 개선방안
- 영국 ‘협동조합학교’ 특징을 지닌 동해삼육학교협동조합운영 사례연구
-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행동 매개효과
- 원격수업에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PBL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 대학생의 원격교육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보조교사 제도에 대한 여러 시각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놀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주관적 인식 연구
-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모형 개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통한 학급대항경기 활성화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역량, 기본심리욕구 및 직무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 초등학교 자체평가 모델 개발
- 코로나19로 실시한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자아개념이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
- 융합 수업모형 사례 연구
- 팬데믹시대의 인성교육
- 만 3세 유아가 교실에서 경험하는 음악활동 의미 알아보기
-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국내 연구동향
- 대학생의 지연동기, 불안⋅우울, 자기구실 만들기, 지연행동의 구조적 관계 분석
- D.I.E.를 적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안전 영역 수업 실행경험과 교육적 의미
- 방과 후 생활시간 활용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
- 보드게임을 활용한 독서토론이 교육복지대상 초등학생의 독서흥미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차별피해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 강의평가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 IU-CEL모형을 적용한 도시재생 수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틱 장애를 가진 아동의 치료놀이 적용에 대한 임상적 사례연구
-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 디스쿨(d. School)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프로세서를 활용한 유아부모의 창의적 발문 경험 탐색
-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블렌디드 기반 뮤지컬 제작 수업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