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난독증 성인이 경험한 삶에 대한 생애사연구
이용수 342
- 영문명
- A Life History Study of the Life Experienced by Adults with Dyslexi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기주(Kim ki 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2호, 747~76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난독증 성인의 생애 경험 분석을 통해 개인적 그리고 사회 구조적인 원인과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개인이 경험한 삶과 생각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 중 생애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난독증 성인 1명과 8회의 구술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인생진행 과정구조를 도출하고, 생애사적 발달과정 구조분석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학령기에 읽기/쓰기 어려움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였으며, 본인이 학습부진이 아니라 난독증이라는 인식도 성인이 된 후에 하게 되었다. 학령기기에는 읽기/쓰기 어려움으로 낮은 학업성취와 창피함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였는데, 이러한 읽기쓰기로 인한 어려움은 학령기에만 국한되지 않았고,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써야 하는 상황을 회피하며 불안과 두려움을 안은 채 살아오고 있었다.
결론 난독증으로 인한 어려움은 시간이 지난다고 저절로 나아지는 것이 아니었다. 난독증 성인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난독증 성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ividual, social and structural causes and trends through the analysis of life experienced by adults with dyslexia.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life history analysis method was us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at can more specifically understand the lives and though experienced by individuals rather than generalization through quantitative surveys. The data collected through 8 interviews with the 1 participant were analyzed, and they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life periods of school, work life, and family life. In addition, a ‘life-historical developmental process structur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the participant did not receive adequate supports for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during school age. The recognition that she was not a poorly learner but a dyslexia came to pass after she became an adult. During the school age, she experienced emotional difficulties because of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embarrassment due to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This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was not limited to school age, but had an effect on work and family life continuously. The participant had lived to avoid reading and writing situations, and with anxiety and fear
Conclusions Difficulties caused by dyslexia did not improve by itself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ppropriate supports for adults with dyslexia,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adults with dyslexi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중재 특성이 유아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개인-직무 적합성이 객관적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성별 비교
- 문학 활동을 접목한 자연체험활동의 협력적 실행연구
- 중학교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분석
- 난독증 성인이 경험한 삶에 대한 생애사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다자녀가정 아버지의 양육경험 연구
- 팬데믹 상황에서 유아교사들이 바라본 유아의 유치원 적응 과정
- 중년여성의 연극단 활동에 나타난 일상의 학습경험 탐구
- 중년기우울 여성을 위한 의미치료 연구동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 효과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응에 대한 종단분석
- 누리과정에 기초한 5세 어린이집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 네트워크 기반 원격수업의 상호작용성 사례 연구
- 포퍼 철학과 사회과 개념학습
- 코로나 팬데믹 속 대학 학습자의 비대면 성악 수업 참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 중심 사전요구 조사 연구
- 대학 수업계획서의 학습자 중심성 분석
-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의사소통능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현직 교사들의 해외 교육봉사활동 지원을 위한 사전교육 요구분석 연구
- 코로나-19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 실태 탐색
- 중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가 체육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을 수강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실에서 발생하는 사건이 수업으로 연속하는 현상 탐구
- 대중가요 가사를 통한 학교와 교육에의 시사점 연구
- 『학교에서의 응급의료 관리체계』 매뉴얼의 적용 실태와 개선방안
- 영국 ‘협동조합학교’ 특징을 지닌 동해삼육학교협동조합운영 사례연구
-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사회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행동 매개효과
- 원격수업에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PBL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 대학생의 원격교육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보조교사 제도에 대한 여러 시각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놀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주관적 인식 연구
-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모형 개발 연구
-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을 통한 학급대항경기 활성화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간호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 역량, 기본심리욕구 및 직무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 초등학교 자체평가 모델 개발
- 코로나19로 실시한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자아개념이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
- 융합 수업모형 사례 연구
- 팬데믹시대의 인성교육
- 만 3세 유아가 교실에서 경험하는 음악활동 의미 알아보기
-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국내 연구동향
- 대학생의 지연동기, 불안⋅우울, 자기구실 만들기, 지연행동의 구조적 관계 분석
- D.I.E.를 적용한 초등학교 체육과 안전 영역 수업 실행경험과 교육적 의미
- 방과 후 생활시간 활용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
- 보드게임을 활용한 독서토론이 교육복지대상 초등학생의 독서흥미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차별피해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 강의평가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 IU-CEL모형을 적용한 도시재생 수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틱 장애를 가진 아동의 치료놀이 적용에 대한 임상적 사례연구
-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 디스쿨(d. School)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프로세서를 활용한 유아부모의 창의적 발문 경험 탐색
-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블렌디드 기반 뮤지컬 제작 수업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