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2
- 영문명
-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on Career Decision Levels: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김나연(Kim, Nayeon) 김민정(Kim, Minjeong) 박미화(Park, Mihwa)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4권 제4호, 31~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대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심리적/환경적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진로장벽과 환경적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넷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환경적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etween psychological/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For this study, 259 undergraduate students of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which measure demographic variables, psychological/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carri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undergraduates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s. Seco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ir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s. Lastl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did no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s.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and findings, implication, limitation and follow-up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