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sis of the Agricultural Trade Network between Korea-China-Japan and ASEAN
이용수 5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무역연구원
- 저자명
- Hyun-Ju Oh Seong-Min Shin Seong-Tae Ji
- 간행물 정보
- 『무역연구』제17권 제2호, 25~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following study aims to reveal Korea, China, and Japan’s effectiveness in the ASEAN Agricultural product trade marke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countries’ trade data before and after the FTA took effect. Design/Methodology/Approach Considering the impact of FTA based on a timeline (2000-2018), the study analyzed trade data via Social Network Analysis to deduce accurate network conditions by detecting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Findings The centrality of Korea, China, and Japan between ASEAN in the agricultural trade market had grown after the FTA took effect. Most ASEAN countries showed an increased degree of centrality, especially Lao PDR had vividly increased its values among other ASEAN countries. In closeness centrality, nations like Myanmar, which previously had fewer relationships, tended to show the remarkable transition in the case of Korea and China. In the case of Japan, countries like Thailand, which used to have ac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had shown an increase. Research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Korea, China, and Japan share their major trade partners before and after the FTA. In degree centrality, all three countries had shown similar patterns, sharing ASEAN countries with a vivid increase in centrality value. Such a result suggests that the Three countries need differentiated trade strategies. In closeness centrality, Korea and China share a similar pattern, countries with newly increased centrality value had shown. Japan had a limited closeness centrality relationship that there is no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the closeness centrality after the FT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rends of the ASEAN+3 Agricultural Product Trade Market
Ⅲ. Data & Methodology
Ⅳ. Results and Discussions
Ⅴ.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Consumption and Performance of Chinese Companies
- Is it Necessary for the Developed Areas to Develop Inclusive Fi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geneity? Taking JiangSu Province of China as an Example
- 경주 MICE 복합지구 성공요인에 관한 만족도 연구: MICE
- Comparative Analysis and Empirical Testing of Major Theories’ Contextual Fits in the Medical Tourism Field
- Changes in the Trade Paradigm and Agency Dilemma in Korea’s Core Export-Leading Industries
- 선물계약 만기시기에 따른 선물 ETF의 포트폴리오와 추적오차
- 신성장 산업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무역보험의 역할과 과제
- 산업집적과 FDI의 수출효과 분석
- 코로나바이러스가 국내외 주식시장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 COVID-19시대 이후 가상관광의 전망
- 프랑스 와인소비자의 와인수요 결정요인 연구
- 중국 하이난(海南) 자유무역항의 조세제도와 한국의 시사점에 관한 연구
- 기업의 기업가 정신이 경영혁신역량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절제 동기가 번영감과 공유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시장 발전과 제도 구축 환경에 대한 연구
- STIRPAT과 EKC 모형을 이용한 중국의 무역과 CO2 배출량의 관계 분석
- 유튜브 여행콘텐츠 특성에 따른 관광지 선택속성의 차이
- 독립적 보증에서 연장지급선택부 청구의 적법성에 대한 고찰
- 한국 중소기업의 캄보디아 시장진출을 위한 개정 노동법 분석 및 노무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유튜브 관광정보특성이 관광지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Fiscal and Tax Policy on R&D Innovation in SMEs: Evidence from China
- 한국 공항 이용객의 윤리적 소비행동이 공정여행 인식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서비스무역의 특화패턴과 동태적 변화에 관한 연구
- 다국적 기업 해외 자회사의 현지 경험과 인력 현지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비선형적 효과
- Multinational Company (MNC) Client Influence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Professional Services Firms: A Panel Data Analysis
- 전기자동차의 판매 확산과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관계성
- 오차수정모형, 이동회귀, 분산분해를 이용한 항공화물의 수출행태분석
-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frican Least Developed Countries
- 중국의 온라인 쇼핑물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신뢰, 고객만족도, 재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수출 김의 이미지, 선택속성, 친숙도 조사를 통한 국가별 마케팅 전략 수립
- 국내 혁신행동 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
- 한국 중소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역직구 만족도 제고 방안
- 패션 관여와 명품 패션 브랜드의 체험적 요소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VECM모형을 이용한 중국 중유 선물가격의 변동원인 분석
- Analysis of the Agricultural Trade Network between Korea-China-Japan and ASEAN
- The Impact of Coaching Leadership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Mediating Roles of Self-Efficacy and Cognitive Flexibility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