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ioscrubber Trickling Filter(BSTF)의 VOCs 제거 및 운전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VOCs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by Using of Bioscrubber Trickling Filter(BSTF)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박진도(Jin Do Park) 서정호(Jung Ho Suh) 이학성(Hak S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31권 제4호, 309~3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odor materials are major sources of air pollution in Ulsan city, where much chemical plants are loc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reactor which can remove VOCs and odor materials effectively and be equipped at the end of pipe easily. A modified reactor (bioscrubber trickling filter, BSTF), which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biofilter and bioscrubber, was developed and tested on its reactivity with several VOCs using two types of media, fiber and activated carbon+ceramic(A/C). It was observed tha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several types of VOCs such as acetaldehyde, ethylalcohol, butanol, diethylamine and triethylamine were up to 95% when they had about 100ppm of initial concentration and 80 seconds of residence time. Good attachment of microorganisms to both media, where it is thought the reaction efficienc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attachment,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Initial pressure drops of the packed bed with both media were 229 mmH2O/m at A/C column and 670 mmH2O/m, respectively. However, maximum pressure drop of fiber column during the operation was over 1,647 mmH2O/m.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fiber material would not suitable to use in the local plant as a packed bed media.
목차
Ⅰ. 서론
Ⅱ. 실험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olyethylene glycol (PEG) 수용액에서 laccase를 이용한 비스페놀A의 처리
- Strain Improvement for High Gentamicin Production Using Micromonosporas purpurea
- 산업폐기물 소각로에서 SNCR 공정에 의한 NOx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 구획모델을 이용한 주택에서 이산화질소의 발생강도 및 감소상수 동시 추정
- 강원 영서지역 하수처리장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일부 지역의 대기 중 미세먼지에 관한 연구
- Effects of Hydraulic Retention Time on Hydrogen Production
- DAF(Dissolved Air Flotation)를 이용한 제지폐수의 COD, SS 및 탁도 제거
- (AO)2 SBR과 A2O SBR의 유기물, 질소 및 인의 제거에 관한 연구
- 효소 전처리가 음식물 쓰레기의 산발효에 미치는 영향
- Bioscrubber Trickling Filter(BSTF)의 VOCs 제거 및 운전 특성에 관한 연구
- 토양컬럼을 이용한 합성폐수중의 암모니아성질소 제거
- 랫드에 미치는 Permethrin의 발생독성에 관한 연구
- Effect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Characterized by Size on Blood Lead and Their Relationships
- 실험동물을 이용한 화분섭취의 면역안전성 평가
- 방사선사의 개인요인과 반응에 따른 지역별 스트레스원 수준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