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존적 치료와 재활운동의 병행이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 및 급성 전방 탈구환자의 골융합 및 어깨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이용수 159
- 영문명
- The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an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in Acute Shoulde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a Fracture of Greater Tuberosity of the Humerus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김원문(Won-Moon Kim) 김상훈(Sang-Hoon Kim)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3권 제2호, 33~4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이 연구는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을 동반한 급성 전방탈구환자에게 보존적 치료와 재활운동요법을 병행하여 골융합과 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증례] 본 증례의 대상자는 48세의 여성이며, 2009년 12월 15일 회사 퇴근길에 계단에서 넘어져서 부상을 당하여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도수정복 후에 본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시작했다. 4주간의 팔걸이 고정 후 약 25주 동안 주 3회, 운동시간은 60~80분으로 관절가동범위운동과 근력운동 그리고 고유수용성 감각운동과 유산소 운동 등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보존적 요법과 재활운동을 병행하여 치료 전 · 후에 걸쳐 KSSI(통증 및 기능검사 설문지)와 방사선 검사, 불안정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25주 동안의 처치 후 KSSI(통증 및 기능 설문 점수) 총 100점 중 치료 전에는 0점이었으나 치료 후에는 92점으로 높은 개선양상을 나타냈고 방사선 검사상에서도 골융합과 연부조직이 정상으로 회복됐으며 불안정성 검사 결과 건측과 비교할 때 정상적인 움직임을 나타냈다. [결론]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 및 전방 탈구 환자의 체계적인 재활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로서 향후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과 급성 전방 탈구환자의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으로서 선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e this case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an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in acute shoulde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a fracture of greater tuberosity of the humerus. [METHOD] The subjects was forty eight-year-old female who fell down from stairs. The patient was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an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progressively along with recovering ROM and strengthening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 for 25 weeks. [RESUL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higher improved KSSI index, radiological examination and shoulder instability in post than pre treatment. [CONCLUSION] Conservative treatment and exercise program were effective on a acute shoulde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a fracture of greater tuberosity of the humerus.
목차
서론
증례
측정변인 및 방법
재활운동절차
결과
방사선검사의 변화
불안정성의 변화
논의
통증 및 기능 지수와 운동범위의 변화
방사선검사의 변화
불안정성의 변화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만 대학생의 복합운동실시가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 복합교정운동 프로그램이 척추 측만증 여중생의 Cobb s Angle과 체형변화에 미치는 효과
- 과제지향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시 지각, 균형 능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 필라테스 매트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요부근력에 미치는 영향
- 워쉽 댄스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건강관련요인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보존적 치료와 재활운동의 병행이 어깨관절 큰결절 골절 및 급성 전방 탈구환자의 골융합 및 어깨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 웹 기반 자가건강관리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운동지속과 신체조성 및 유연성 그리고 심박수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
- 수영선수의 손상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체육분야 BEST
- 재활운동에 따른 회전근개복원술을 받은 노인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와 어깨통증 및 심리상태의 변화
- 아마추어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행복의 구조적 관계
-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대학의 실기·실습수업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탐색
예술체육 > 체육분야 NEW
- Periodising Cold Water Immersion in Team Sports: Maximising Recovery and Adaptation
- Physical Activity Vol. 3 No. 1 Table of Contents
- Role of Biological Sex in the Onset of Muscle Atrop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