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어 훈련이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배근력, 서전트 점프, Y-자 검사 및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74
- 영문명
- Effects of core training on abdominal muscle strength, sagent lump, Y-balance and equilibrium sensory control in freestyle skier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정철(Chul Jung) 박우영(Woo-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2호, 608~61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이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배근력, 서전트 점프, Y-자 검사 및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14명의 프리스타일 선수를 무작위로 운동군 7명과 통제군 7명으로 분류하였다. 훈련군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을 하였고, 통제군은 일반적인 훈련을 하였다. 연구 결과 배근력과 서전트 점프에서 효과를 보였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 다. Y-자 검사의 경우 좌측 앞쪽에서 효과를 보였고, 좌·우측 좌측 후방 안쪽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 다. 종합점수의 경우 운동군은 사전의 좌·우 차이 7.5cm, 사후에서 1.66cm로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사전 3.73cm에서 사후 7.01cm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서는 조건 2, 5, 6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나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코어 훈련은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자세 조절 능력에서 유익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of core training on the abdominal muscle strength, sargent lumps, Y-balance and equilibrium freestyle skiers’. Fourteen freestyle play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ercise group(Ex)(n=7) and control groups(Con)(n=7). Ex undertook a 8-week training program that included exercises for the Bench, Sideway bench, and Nordic hamstring whereas Con performed their usual activities. Muscular fitness were significant effect observ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Y-balance test was effective in the front left, and the left and right left posteromedial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total score, the Ex decreased to 7.5cm in the left and right difference and 1.66cm in the post, but the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3.73cm in the pre-test to 7.01cm in the post-test. In the Equilibrium test, there was significant result in condition(C) in C2, C5, and C6. In conclusion, the 8-week core training was found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postural control in freestyle skier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득에 따른 베이커리 제품 구매 속성과 형태
- 유산균을 이용한 밤 발효 퓨레의 발효특성
- A Study on the Skin Stress Recognition and Beauty Care Status due to Wearing Masks
- 밀크씨슬 오일에 의한 화학적 손상모발의 개선 효과
-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돌봄 이행 및 공감과의 관계
- 일반 폴리시와 젤 폴리시의 안전성 인식 및 손톱 손상도
- COVID-19시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
-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및 수면장애가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와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 COVID-19 확산 속에서 비대면 수업의 적용에 따른 보건계열 학과 1, 2학년 대학생들의 전공 몰입과 전공 만족도의 변화
-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구성개념 분석
- 뷰티 전문가의 자기관리가 자기효능감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 형질전환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이 퇴행성관절염 관련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
- 코어 훈련이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배근력, 서전트 점프, Y-자 검사 및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실무경력에 따른 직무분석
- 고형분 70% 아크릴수지 합성과 아크릴-우레탄 도료의 도막물성 비교 연구
- 대학생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 수행과 우울 수준의 변화
- 축구 스타의 휴먼 브랜드가 구단에 대한 태도 및 애착에 미치는 영향
-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난소절제 쥐에서 염증에 대한 수영운동의 영향
- 운동시간의 변화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GRIT) 변화량의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llectual wel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골프 스윙 시 스탠스에 따른 하지의 역학적 분석
- COVID-19로 인한 온라인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 그릿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 다이어트젤과 전기근육자극기가 허리둘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 화장품 국내외 산업 동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