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끼에서의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망막 및 맥락막두께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The Normative Retinal and Choroidal Thicknesses of the Rabbit as Revealed by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우진(Woojin Kim) 최미현(Mihyun Choi) 김성우(Seong-Woo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3, 354~36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토끼에서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을 이용하여 시신경유두(optic nerve head, ONH)로부터 거리에 따른 망막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망막 동물실험모델에서의 기본 자료를 얻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토끼 15마리의 우안에서 SD-OCT 영상을 얻은 후, ONH 테두리에서 시작하여 하방으로 1, 2, 3, 4 그리고 5 mm 위치에서 전체 망막층, 내망막층, 외망막층, 맥락막층, 신경절세포복합체층, 신경절세포층, 내핵층, 그리고 외핵층의 두께를 얻었으며, 측정 위치에 따른 각 층의 두께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망막두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C]=-0.778, p<0.05), 내망막층 두께(CC=-0.710, p<0.05), 외망막층 두께(CC=-0.495, p<0.05), 신경절세포복합체 두께(CC=-0.292, p<0.05), 신경절세포층 두께(CC=-0.284, p<0.05), 그리고 외핵층 두께(CC=-0.760, p<0.05)는 ONH에서 아래로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내핵층 두께도 ONH에서의 거리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상관계수는 낮았다(CC=-0.263, p<0.05). 맥락막두께는 ONH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였다(CC=0.511, p<0.05). 결론: SD-OCT를 이용하여 ONH로부터 거리에 따른 토끼 망막두께를 분석하였다. 이 토끼 안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토끼 실험의 표준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We used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to assess the retinal and choroidal thicknesses of the rabbit, a commonly used animal model of ophthalmic disease. We report normative datasets. Methods: Semi-automated measurements were made on 15 normal right eyes of New Zealand white rabbits. Total retinal, inner retinal layer, outer retinal layer, choroidal, ganglion cell layer, ganglion cell complex, inner nuclear layer, and outer nuclear layer thicknesses were measured at fixed distances (0, 1, 2, 3, 4, and 5 mm) below the optic nerve head. Results: Total retinal laye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C] = -0.778, p < 0.05), inner retinal layer (CC = -0.710, p < 0.05), outer retinal layer (CC = -0.495, p < 0.05), ganglion cell complex (CC = -0.292, p < 0.05), ganglion cell layer (CC = -0.284, p < 0.05), and outer nuclear layer thicknesses (CC = -0.760, p < 0.05)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optic nerve head. Inner nuclear layer thickness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distance from the optic nerve head,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low (CC = -0.263, p < 0.05). Choroidal thickness in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optic nerve head (CC = 0.511, p < 0.05). Conclusions: Rabbit retinal thicknesse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the distance from the optic nerve head. The datasets will serve as standards when using rabbits.
목차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리체가 전방을 채운 난치성 녹내장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시행한 섬유주절제술의 임상경과
- 경증 건성안증후군에서 눈물막 삼투압의 임상적 유용성
- 반복적인 전층각막이식실패 환자에서 데스메막박리 자동 각막내피층판이식술을 시행한 1예
-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뇌자기공명영상으로 확인한 측두동맥염
- 수술 전 안축장 구간에 따른 백내장수술 후 유효수정체위치 예측
- 접촉 맥락막박리와 장액망막박리를 동반한 감염공막염
- 소아에서 발견된 일차 수정체낭종 1예
- 마이봄샘 기능부전을 동반한 안구건조증 환자에 대한 펄스광선 치료의 임상효과
- 안와에 발생한 낭성 고립성 섬유종
- 토끼에서의 빛간섭단층촬영기를 이용한 망막 및 맥락막두께 분석
- 인공수정체 종류에 따른 저간섭성 반사계의 도수 공식 정확성 비교
- 베스트병으로 진단된 국내 환자의 특성과 임상경과
- 제1형 및 2형 맥락막신생혈관에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진단적 유용성
- 대동맥판막치환술 후 발생한 푸르처 유사 망막병증
- 안장 위 수막종의 시신경 침범 환자에서 나타난자발적인 시력회복 1예
- 내경계막절편술 및 삽입술을 이용한 황반원공수술의 장기 임상결과
-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단안 원발급성폐쇄각발작 후 망막모세혈관분포 분석
- 중뇌주변부 뇌조의 지주막하출혈로 인한 시각로 손상
- 섬유주절제술과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초음파수정체유화술의 수술 결과 비교
- 난치성 후부공막염에서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