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CC의 변화에 따른 정부와 기업의 전략적 진출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trategic Advancement of Korean Government and Enterprises by GCC Transition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이현수(Hyun-Soo Lee) 이부형(Boo-Hyung Lee) 이상엽(Sang-Yup Lee) 김선엽(Seon-Yeop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14권 제1호, 15~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unded in 1981, Gulf Cooperation Council consists of six Arab countries in the Middle-east region, including Bahrain, Kuwait, Oman, Qatar, Saudi Arabia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GCC is a political-economic organization aiming at strengthening the regional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The price of consumption in GCC arises sharply due to the weakness of global dollar and the US subprime crisis. Social problems and diplomatic friction caused by the strike from foreign labors makes it difficult for maintaining the policy for currency and exchange rate. The International oil price drops dramatically on account of the low tide of global economy. US financial agencies expand their investment lost in part of the fund in Middle-east. Credit blockade exist as a result of the aftereffect of global-wide financial crisis. It is difficult for Korea to step into the Middle east region. However, investing and entering these countries in such a difficult time, in the long run, could also bring in opportunities to recapture the market which is preoccupied by advanced western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olitical, legal, social and cultural, and economical environment of GCC, and research on the risks and opportunities that our domestic enterprises may be confronted with when entering the market, so as to demonstrate the role of government in setting up the strategy for our domestic enterprises to invest and enter the market based on the core competence of our country.
목차
Ⅰ. 서 론
Ⅱ. GCC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Ⅲ. GCC에 대한 우리나라의 기회요인과 위험요인
Ⅳ. 정부와 기업의 GCC 진출전략 및 투자전략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택통계의 품질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이 노인의 사회재적응에 미치는 효과
- 폐광지역 RHRD의 추진전략과 강원랜드의 역할
-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홍보 효과성 제고방안
- 중국의 지역간 경제지표를 이용한 지역개발정책의 효과분석
- 도·농간 노인의 기초노령연금에 대한 인식 비교
- Research on the Improvement Plan of Urbanization Strategy of China s Rural Areas-Focused on FanChang County in the Southern Part of Anhui Province-
- 동남권역 지방자치단체의 지리정보시스템 효과성 연구
- 방사성물질의 안전운반규범 비교 연구
- 발전이론과 국가-기업관계
- 사회적 기업 활동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GCC의 변화에 따른 정부와 기업의 전략적 진출 방안
- 사회적 기업간 네트워크 작동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도시 저소득층 주거 실태와 주거복지정책 방향
- 试析中国国际互动的政策目标与可行性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