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책내러티브 영향력과 전략에 대한 탐색
이용수 95
- 영문명
- Exploring the Influence and Strategies of Policy Narratives
- 발행기관
- 한국비교정부학회
- 저자명
- 허성욱(SeungUk Hur) 황태연(Tae-Yeon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비교정부학보』제24권 제3호, 193~22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NPF defines core assumptions, level of analysis, hypotheses and research methods within the framework, and emphasizes scientific approach to the narratives in the policy proces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its usefulness by strictly applying the logic and research methods of NPF to Korean cases. Thus, this study explored the major ideas of the NPF(Narratives persuasion, narratives elements and strategies) with Korean case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paper examined the power of narrative persuasion at the normative core beliefs and policy core beliefs, and narrative elements(characters: heroes, villains, victims) and narrative strategies(angel shift and devil shift) based on the two Korean cases(Korea-U.S. FTA case and Special Act On Prostitution case) using content analysis.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the narrative persuas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policy belief-level debate(the Korea-U.S. FTA) than on the normative belief-level debate(the Special Act On Prostitution). In addi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winners mainly mentioned the heroes, but the losers mentioned the villains. However, hypotheses about devil and angel shift have not been supported. In the case of the Korea-U.S. FTA, it was revealed that the winners mainly used angel shift and the losers mainly used the devil shift, but in the case of the Special Act On Prostitution, both the winners and the losers mainly used the devil shif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is study argues that while the NPF is a powerful tool, it is imperative that future study also consider the role of belief systems and Korean contexts when testing the role of policy narrative and its outcom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70년대 신문기사에 나타난 새마을운동 특성 분석
- 한국 대학생의 영어학습 앱 현황과 수요 분석
- Welfare Magnets and In-migration: Do Welfare Magnets Work in Korean Local Governments?
- 정책내러티브 영향력과 전략에 대한 탐색
-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the Success of University Students’ Start-up: Application of System Dynamics Method
- 지방정부의 국정참여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
- 미국, 호주, 한국의 난민정책 비교 연구
- 정부간 관계와 지방감사
- 노인의 죽음준비 정도와 사회적 지지가 죽음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사회문제 대응과 기술영향평가
- 공적연금 통합요인 우선순위 분석
- Development Aid from the Donor’s Point of View: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British Aid to Statistics
- 데이터 기반 행정법과 증거기반 정책결정
- 사회적 자본과 정부의 질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