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인의 인성, 윤리, 가치에 대해 교육 체계가 미치는 영향 분석과 후기 근대 다원적 사회들에 대한 함의
이용수 69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acts of the Education System on the Character, Ethics, and Values of Koreans and its Implications for Late Modern Pluralistic Societie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백충현(Chung‐ Hyun Baik)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192집(2021년 봄호), 145~16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국의 전임 대통령인 버락 오바마(Barack Obama)를 비롯하여 많은 이들이 한국의 교육 성취도에 대해 많은 갈채를 보내지만, 하이델베르크대학교의 명예 교수이며, OECD의 교육과 기술 국장(Director of Education and Skills of OECD)인 안드레아스 슐라이허(Andreas Schleicher)는 한국 학생들이 높은 학문적 성취도에도 불구하고, 학교 활동과 관련된 불안을 일상적으로 상당히 많이 경험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한국의 교육에 대한 평가에서 드러나는 이와 같은 큰 불일치가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의 교육 체계에 대해 정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동안 한국의 교육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온 것이 사실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교육 체계가 한국인의 인성과 윤리와 가치에 대해 어떻게 영향들을 미치는 지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인성(character)이라는 용어는 주로 인간으로서 우리가 누구인지를 가리키며, 윤리(ethics)라는 용어는 우리가 어떻게 사는지를 가리키고, 가치(value)라는 용어는 우리가 무엇을 위해 사는지를 가리킨다. 본 논문에서 의도하는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에서의 인성 형성, 윤리 교육, 가치 전달과 관련하여 한국 역사 속에서 있었던 교육 체계를 검토한다. 특히 고등 교육에 해당하는 것을 중심으로교육 체계를 검토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본 논문은 한국의 교육은 이기적인 가족주의에 의해 강화되었으며, 매우 경쟁적이며 결과적으로 배타적인 공적주의에 의해 강하게 결정되어 왔음을 주장하고, 또한 그와 같은 점이 한국인들의 인성과 윤리와 가치에 대해 어느 정도 왜곡과 방향 상실을 일으켰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점은 한국의 역사에서 전근대 시기와 근대 시기에서 매우 그러하였다. 그러나 후기 근대 시기로 새롭게 사회가 이동하면서 문호는 교육 그 자체에 대해 크게 열려 있다. 특히 인성 형성, 윤리 교육, 가치 전달을 위해서 크게 열려 있다. 그렇지만 이 모든 가능성은 앞으로 정치 또는 정치적 의제들이 지닌 복잡하고 세밀한 압력들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달려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서 교회와 신학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이 각자 자신의 인간다움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 온전한 교육을 위하여 더 많은 연구와 적용을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또 다른 과제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Many people including the former U. S. President Barack Obama often applauded South Korea’s education system for its educational outcomes. However, Andreas Schleicher, Professor Emeritus of Heidelberg University and Director of Education and Skills of OECD, pointed out that Korean students routinely experience a great deal of schoolwork-related anxiety despite their high academic performance. Such a discrepancy in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education system leads us to do a more elaborate analysis of the education system in Korea, especially regarding to its impact on Korean character, ethics and values. Here character mainly refers to who we are as humans, ethics refers to how we live, and value refers to what we live for.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examines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roughout history with reference to character formation, ethic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of values in Korea. In so doing, this paper argues that Korean education has been strongly determined by a highly competitive approach which reinforced an exclusive meritocracy. This in turn leads to an egoistic familism, which has caused some distortion and disorientation for the character, ethics, and values of Koreans. And then this paper makes an attempt to draw some implications from such analysis for late modern pluralistic societies. In Korea, education itself has not been an independent variable, but a dependent variable throughout Korean history. For a long time, the Korean education system has been heavily influenced and even determined by something other than education itself, that is, by politics or political agendas for which students are taught and trained to be government officials. This was pretty much the case with the pre-modern period and the modern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However, within a new social shift into a late modern period, the door is wide open for the approach to education to change itself especially with regards to character formation, ethic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of values. But all this possibility would depend on how to deal with the complicated and delicate pressures of politics or political agendas. And the church and theology need to do more for to bring this about.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교육 체계가 한국인의 인성, 교육, 가치에 미치는 영향
Ⅲ. 후기 근대 다원적 사회들에 대한 함의들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교회사의 역사관
- 한국인의 인성, 윤리, 가치에 대해 교육 체계가 미치는 영향 분석과 후기 근대 다원적 사회들에 대한 함의
- 편집후기
- 중국 문자에 기초한 창세기적 해석에 관한 방법론적 비평
- 임금의 잔치와 거리의 잔치
- 초대 교회 사막 교부와 장공 김재준
- 세상 권세에 어디까지 복종해야 하는가?
- 4세기 후반 그리스도론의 역사에 대한 재평가
- “나는 나다”
-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 한반도 통일 운동의 여정과 역사적 조망
- 한국 이주민 여성들과 유목적 주체로의 신학적 형상화
- 코로나 이후의 한반도 평화 통일 운동의 전망
- 예배
- 한국 여성신학 운동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
- 독일 나치 시대 여성
- 코로나19 이후 시대, 미술을 통한 일상성 회복의 의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작은 교회 연합 기독교교육 사례 연구
- 한국 장로교(예장통합) 가정예배의 교육학적 이해와 대안적인 교육목회적 실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기독교 동아리 운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