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나는 나다”

이용수  99

영문명
“I Am”: What & How: From the Perspective of Meta-Existential Therapy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이정기(Jung-Kee Lee)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신학사상 192집(2021년 봄호), 329~36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실존주의 신학자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꿈꾸는 순수’(Dreaming Innocence)를 말했다. 그 개념 속에는 현실적 실존보다는 가능성이라는 암시가 짙게 들어있다. 그러나 그 꿈이 아무리 아름답고 순수하더라도 어느 순간 그 꿈은 사라지고 만다. 어두운 밤 꿈속에 웅크리고 있던 ‘현실성’에 대한 기대가 어느 날 새벽 창틈으로 들어오는 빛과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그 순간, 그 꿈같은 ‘가능성’은 실존적 ‘현실성’으로 전환된다. 그 ‘깨어남’(Awakening)의 순간, 아름다웠던 꿈을 깨고, 그는 하늘 높이 날게 된다. 그렇게 새날은 시작된다. 〈메타실존치료〉란 무엇인가? 그 ‘꿈꾸는 순수’라는 가능성으로 하여 그 꿈에서 깨어나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현실성’이라는 실존을 살게 하는 것이다. 어떻게 가능한가? 새벽을 깨우는 것이다. 어떻게 깨우는가? ‘줄탁줄탁’ 영혼의 창을 두드리는 것이다. 끊임없이 두드리는 것이다. 새벽이 올 때까지, 그리하여 새벽빛이 비췰 때까지 두드리는 것이다. 어둠이 아니라 빛의 세계가 기다리고 있음을, 그 새벽이 밝아오고 있음을 알려 주는 것이다. 그렇게 이제 더 이상 꿈속을 헤매는 하나의 알이 아니라, 하늘 높이 나는 한 마리의 새라고 하는 사실, 그 〈I Am〉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그렇게 하늘을 나는 〈새로운 존재〉(New Being)로 살게 하는 것이다. 그것을 ‘깨달음’(Enlightenment)이라 한다.

영문 초록

Paul Tillich, an existential theologian talked about a concept called ‘Dreaming Innocence’. This concept suggests a potentiality rather than a realistic existence. However, even though the dream is so beautiful and pure, the dream will disappear at a certain moment. The reason is that an expectation about ‘the reality’ mingles with a light coming through the narrow windows at the break of day. Consequently, ‘a potentiality’ like a dream has to be transformed to an existential ‘reality’. At that moment of ‘Awakening,’ the beautiful dream is broken. She/he flies high in the sky. And a new day begins. What is Meta-Existential Therapy? It is a way for the counselee to awaken from a ‘dreaming innocence’ as a potentiality. Consequently, it helps him/her to live an existence as a reality. How can it be possible? It is to break the dawn, to strike the dawn of the soul ceaselessly until the dawn comes. Then the light of the dawn shines on his/her soul. It says to him/her a new truth that an authentic life begins now. Then, he/she knows that the world of light begins. By doing so, it will let him/her know that he/she is not an egg dreaming in the dark, but a bird flying high in the sky. Now he/she becomes just an And he/she lives as a New Being. This is ‘Enlightenment’.

목차

Ⅰ. 서론 ― 꿈꾸는 純粹
Ⅱ. 본론
Ⅲ. 결론 ― 永遠한 思春期(Forever Adolescing)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기(Jung-Kee Lee). (2021).“나는 나다”. 신학사상, 192 , 329-362

MLA

이정기(Jung-Kee Lee). "“나는 나다”." 신학사상, 192.(2021): 329-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