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대근력 저항운동과 근지구력 저항운동시 총운동량;혈액점도 및 적혈구용적률의 변화
이용수 70
- 영문명
- Changes in Total Work;Blood Viscosity and Hematocrit during Maximum Strength Type and Endurance Type Resistance Exercise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정환종(Hwan-Jong Jeong) 장태수(Tae-Su Jang) 김기홍(Ki-H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8권 제1호, 271~27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대근력형과 근지구력형 저항운동이 총운동량과 혈액점도 및 적혈구용적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저항운동 경력 12개월 이상의 20대 남성 15명으로 선정하였으며;실험 전 벤치프레스 1RM을 측정하였으며;조건 별 실험은 1주일간의 간격을 두고 교차배분하여 6세트 씩 최대반복수행 하였다. 그 결과 총운동량은 근지구력강도가 최대근력강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001);혈액점도와 적혈구용적률은 총운동량에 관계없이 운동 전보다 운동 후에 높아졌다(p<.01). 종합하면 혈액점도는 운동강도와 운동량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일회성 저항운동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저항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으며 혈관질환에 관련된 임상환자들의 운동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ximum and endurance resistance exercises on total work;blood viscosity;and erythrocyte volume ratio.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15 men in their twenties with 12 months or more of resistance exercise experience;and the bench press 1RM was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and the experiment for each condition was cross-allocated at intervals of one week;and the maximum repetition was performed in 6 sets. As a result;the total amount of exercise showed that the muscular endurance strengt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ximum muscular strength (p<.001);and the blood viscosity and erythrocyte volume ratio were higher after exercise than before (p<.01) regardless of the total exercise amount. In summary;it was found that blood viscosity was not affected by exercise intensity and amount of exercise;and increased with one-time resistance exercise. This is clinically significant in constructing a resistance exercise program;and it is considered to be a reference material in creating an exercise program for clinical patients related to vascular diseas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불안;위험인식;정보이해력 및 감염예방행위 수행간의 관계
- 대장균 베타-갈락토시데이즈를 이용한 Phenylethanol Galactoside 합성 조건의 최적화
-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커뮤니티 탄력성 및 불안과의 관계
- 마라톤대회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및 참여자만족에 미치는 영향
- 후기 중년 여성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요인
- PVA의 첨가에 의한 PPG기반 수분산 창상피복수지의 코팅 물성
- 미래 동물생명산업 발전전략으로써 스마트축산의 응용
- 국비 지원 뷰티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tem cell culture on thermal stability
-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물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 최대근력 저항운동과 근지구력 저항운동시 총운동량;혈액점도 및 적혈구용적률의 변화
- 국내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비교
- 생활체육과 스포츠복지 정책 전달체계
- 코스메슈티컬 적용을 위한 흑호두 과피의 생리학적 연구
-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분노표현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 RAW 264.7 세포에서 레드비트의 항산화 및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 연구
- A Study on the Trends of the Natural UV Protection Materials Related to Skin Beauty
- 골프 드라이버 스윙 시 운동역학 요인들과 비거리 관련성 분석
-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조사연구
- 인디고 염료에 의한 모발 염색효과와 모질의 변화
- 청소년들의 골연령과 역연령을 통한 체격과 체력의 차이 검증
- 스피로피란 기반 친수성 가교제를 활용한 다중 자극 감응형 하이드로젤
- 삼채잎 향기 성분 분석과 항산화 및 항염 효과 연구
- 고혈압, 당뇨병 성인의 뇌졸중 및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비인지
- 폴리아크릴산나트륨 3차원 네트워크 겔의 물성 예측을 위한 가교개수밀도 분석
- 골프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적응유연성 및 주관적 건강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 와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
- 골프 디바이스 데이터의 신뢰;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 화장품과 식품 재료를 이용한 각종 산업장비 녹(rust) 세정에 관한 연구
- 해삼의 생리활성물질 추출 용매분획에 따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