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홍화 수집종의 주요 형태적 특성
이용수 9
- 영문명
-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Accession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김재철(Jae-Chul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3권 제3호, 213~21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홍화의 새로운 품종육성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홍화의 외관상 나타나는 형태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홍화의 16계통중 단간(90∼110cm)인것이 6계통, 중간(111∼130cm)인 것은 5계통, 장간(131cm이상)인것은 5계통이었으며 장간은 국외 도입계통이었다. 2. 국내 수집 종 2계통은 주당 분지수가 11∼13개의 소분지형이었으며 도입종들은 50개이상의 다분 지형이었다. 3. 잎의 형태는 장타원형이 3계통, 피침형이 10계통, 넓은 선상형은 3계통으로 피침형이 가장 많았으며 잎의 가장자리 거치형태는 파도 물결 모양의 둔거치가 7계통으로 가장 많았고 4계통은 거치가 있었으며 깊게 찢어진 심열거치는 5계통이었다. 4.꽃의 색깔은 백색 1계통, 황색 13계통, 주황색 2계통이었으며 두장화의 형태는 원뿔형이 대부분이며(14계통)편형이 2계통이었고 화두 포엽의 끝은 가시형이 11계통이었고 무가시형은 5계통이었다. 5. 종자의 형태는 원뿔형이 11계통, 타원형은 5계통으로 국내 수집계통은 모두 원뿔형이었으며 도입계통은 타원형으로 대립이었다.
영문 초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16 collect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accessions were studied at Gyongbuk A.T.A. Uisong Medicinal Plant Experiment Station in 1998. As for plant height, 5 lines were tall(more than 131cm), which were mainly foreign safflower. Middle and small were 5 and 6 accessions, respectively. Number of branch per plant was 11∼13 in 2 accessions of domestic safflowers while foreign safflowers have more than 50 branches per plant. Leaf shapes were oblong(3 lines), lanceolate(10 lines) and broadly linear(3 lines). There were three types of leaf margin shape which were repand(7 lines), serrate(4 lines) and parted serrate(5 lines). Flower color was white(1 line), yellow(13 lines) and red orange(2 lines). As for flower head shape, 14 lines were conical and 2 lines were flattened. There were thorns on bract of flower head in 11 lines but in 5 lines there were not. Domestic safflower lines had seeds of conical shape. Contrastively, seed shapes of foreign saffower lines were oval.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열매 형태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살충제에 의한 택사 잔딧물 방제
- 메밀증수를 위한 잡초방제 및 도복경감 효과
- 금낭화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 야생동충하초로부터 우량균주선발 (I)
- 韓國産 산마늘 種子의 發芽와 種球의 休眠 特性
- 생열귀나무 종자 발아에 있어서 개갑처리, 지배렐린, 발아온도의 효과
-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식물추출물의 보호효과
-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시설재배 실용화 실태 조사
- 홍화 수집종의 주요 형태적 특성
- 도시녹지의 미기후개선, CO2흡수 및 화재방지의 효과
- 강원도 음나무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 식생구조 및 동태
- 포도(자옥) 유목의 월동시 피복한 보온피복재 종류가 발아 및 병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저온습윤 및 변온처리가 자생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