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온습윤 및 변온처리가 자생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8
- 영문명
- Effect of Prechilling and Alternating Temperature on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姜致薰(Chi-Hun Kang) 金斗煥(Doo-Hw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13권 제3호, 202~20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생식물 16종의 종자형질 특성 및 저온습윤 및 변온 처리에 의한 발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실험은 수행되었다. 종에 따라 종자의 길이, 넓이, 폭은 각각 1.1∼8.9, 0.7∼7.5, 0.4∼l.7mm의 범위였으며 천립중은 0.1∼8.8g의 범위였다. 무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은 종에 있어 냉이와 익모초는 암조건에서 각각 16, 36%이었으며 장구채와 각시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69, 81%이었다. 참취, 고려엉겅퀴, 곰취, 질경이, 청옥취는 저온습윤처리 명조건에서 각각 84, 29, 57, 78, 95%로 물엉겅퀴는 암조건에서 30%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변온처리에서 발아율이 높은 종에 있어 두릅나무와 벌개미취는 명조건에서 각각 2,57%로, 수리취는 암조건에서 52%로 가장 높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pattern by the prechilling and alternating temperature treatments to 16 species of native plant. The seed length, width and thickness ranged from 1.1 to 8.9 mm, from 0.7 to 7.5 mm and from 0.4 to 1.7 m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1,000 grain weight of native plants ranged from 0.1 to 8.8g. Germination rate of Melandryum firmum R. and Saussurea pulchella F. with light condition, Capsella bursa-pastoris L. and Leonurus sibiricus L. with dark conditionin of non-treatment were the highest 69, 81,16 and 36%, respectively. Germination rate of Aster scaber T., Cirsium setidens N., Ligularia fischeri T., Plantago asiatica L., and Saussurea sp. of 5℃ prechilling for 30 days were the highest 84, 29, 29, 57, 78 and 95% with light condition respectively, 30% but Cirsium nipponicum M. only with dark condition. Germination rate of Aralia elata S., Aster koraiensis N. and Synurus deltoides N. of alternating temperature with 8 hours at 30℃ and 16 hours at 15℃ were the highest 2 and 57% with light condition and 52% with dark condition.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열매 형태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살충제에 의한 택사 잔딧물 방제
- 메밀증수를 위한 잡초방제 및 도복경감 효과
- 금낭화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 야생동충하초로부터 우량균주선발 (I)
- 韓國産 산마늘 種子의 發芽와 種球의 休眠 特性
- 생열귀나무 종자 발아에 있어서 개갑처리, 지배렐린, 발아온도의 효과
-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농도에 미치는 식물추출물의 보호효과
-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의 시설재배 실용화 실태 조사
- 홍화 수집종의 주요 형태적 특성
- 도시녹지의 미기후개선, CO2흡수 및 화재방지의 효과
- 강원도 음나무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 식생구조 및 동태
- 포도(자옥) 유목의 월동시 피복한 보온피복재 종류가 발아 및 병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저온습윤 및 변온처리가 자생식물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