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이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
이용수 12
- 영문명
-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Xanthium sibiricum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신선우 이정호 방극수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5권 제4호, 372~37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창이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VLC column로 분획한 XS-5에서 처리농도 500 ㎍/ml에서의 87.53%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VLC로 분획한 XS-3-2의 처리농도 500 ㎍/ml에서 78.72%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PCL법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XS-1에서 13.32 nmol과 open column XS-3-2에서 14.34 nmol으로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Candida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XS-2의 처리농도가 500 ㎍/disc에서는 1 mm의 clean zone이 형성되었다. XS-3에서DPPH와 PCL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높았지만 항균활성은낮게 나타났다. 창이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은상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Xanthium sibiricum using extract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as a VLC column fractionation experiments XS-5 (water fraction of Xanthium sibiricum) concentration in the 500 ㎍/ml to 87.53 percent in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found, VLC fractionation in XS-3-2 (eluted with chloroform/methanol 7~10%) concentration of 500 ㎍/ml, show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78.72%. The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y PCL XS-1 (n-hexane fraction of Xanthium sibiricum) XS-5 (water fraction of Xanthium sibiricum) and 13.32 nmol open column XS-3-2 (eluted with chloroform/methanol 7~10%) showed antioxidant activity with 14.34 nmol.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XS-2 (methlene chloride fraction fo Xanthium sibiricum) is the concentration of 500 ㎍/disc 1 mm of the clean zone was formed. XS-3 (ethanol fraction fo Xanthium sibiricum) in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and PCL ha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was low.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대 및 품종(재배종)별 콩사포닌그룹B 함량의 비교
- 야생 참당귀(Angelica gigas N.)의 기내발아 및 기관유도에 미치는 PGRs의 영향
- 희귀수종 눈잣나무의 구과보호망 효과 및 구과와 종자의 형태적 변이
- 발효천마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및 라디칼 소거능
- 아열대 마(Dioscorea alata)의 저장중 부패 억제를 위한 큐어링 효과
- 흥정산(강원, 평창)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징
- 설악산 대청봉 눈잣나무(Pinus pumila (Pall.) Regel)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공간적 유전구조
- 비비추의 잎변이 품종 ‘Yellow Tiara’ 육성
- 한국 양치식물의 생활형 구성 분석
- 한국산 피막이속(Hydrocotyle L.)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 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 포천 백운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 특성
- 화분(Trichosanthes Kirilowii ext.)추출물이 LPS를 처리한 육계 병아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 새로운 자동 구증구포방법에 의한 인삼사포닌의 변환 및 이화학적 특성
- 제주지역 사찰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에 대한 연구
- 창이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
- 배 품종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