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산 피막이속(Hydrocotyle L.)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of Korean Hydrocotyle L.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최경수 박선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5권 제4호, 490~49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산 피막이속(Hydrocotyle L.)의 5종과 울릉도에서새로 발견한 H. sp 그리고 outgroup인 병풀 (Centella asiatica)을 포함하여 총 7분류군을 대상으로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종의 실체 및 문제점을 검토하고 유연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자계통학적 연구의 marker로는nrDNA의 ITS 지역과 cpDNA의 trnH-psbA지역을 사용하였다. 한국산 피막이속은 94%의 지지도로 묶였으며, 크게 4개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선피막이 (H. maritima)와 피막이 (H. sibthorpioides), 제주피막이 (H. yabei)와큰잎피막이 (H. nepalensis), 큰피막이 (H. ramiflora) 그리고 H. sp가 각각의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선피막이, 피막이, 제주피막이의 경우 독립된 분계조를 형성하지않았으며, H. sp의 경우 분자적으로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고 있어 새로운 종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hylogenetic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lationships of 5 taxa of Korean Hydrocotyle, H. spp. found in the Ulleung island including one outgroup (Centella asiatica). The molecular phylogenetic methods based on nuclear ribosomal DNA ITS region and cpDNA trnH-psbA region. Centella asiatica was used outgroup for analysis. As the result,genus Korean Hydrocotyle were grouped by 94% bootstrap value. Korean Hydrocotyle was grouped by four clades; Clade Ⅰ-H. maritima, H. sibthorpides and H. yabei clade Clade Ⅱ- H. nepalensis clade clade Ⅲ- H. ramiflora clade clade Ⅳ- H. spp. clade. H. maritima, H. sibthorpides and H. yabei was not distinguished, seperately. H. spp. was distinctly distinguished other Korean Hydrocotyle.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사 사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대 및 품종(재배종)별 콩사포닌그룹B 함량의 비교
- 야생 참당귀(Angelica gigas N.)의 기내발아 및 기관유도에 미치는 PGRs의 영향
- 희귀수종 눈잣나무의 구과보호망 효과 및 구과와 종자의 형태적 변이
- 발효천마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및 라디칼 소거능
- 아열대 마(Dioscorea alata)의 저장중 부패 억제를 위한 큐어링 효과
- 흥정산(강원, 평창) 식물자원의 분포와 특징
- 설악산 대청봉 눈잣나무(Pinus pumila (Pall.) Regel)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공간적 유전구조
- 비비추의 잎변이 품종 ‘Yellow Tiara’ 육성
- 한국 양치식물의 생활형 구성 분석
- 한국산 피막이속(Hydrocotyle L.) 식물의 분자계통학적 연구
- 딱총나무(Sambucus williamsii var. coreana)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 포천 백운산 히어리 군락의 식생 특성
- 화분(Trichosanthes Kirilowii ext.)추출물이 LPS를 처리한 육계 병아리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 새로운 자동 구증구포방법에 의한 인삼사포닌의 변환 및 이화학적 특성
- 제주지역 사찰음식으로 이용되는 식물에 대한 연구
- 창이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
- 배 품종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