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도에 따른 자생 주걱쑥부쟁이의 종자발아특성

이용수  2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in Heteropappus arenarius Kitam. Native to Korea as Influenced by Temperature
발행기관
한국자원식물학회
저자명
이창희(Chang Hee Lee) 남기웅(Ki Woong Nam)
간행물 정보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2권 제2호, 116~122쪽, 전체 7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걱쑥부쟁이(Heteropappus arenarius Kitam.)는 들국화에 속하는 가을 개화성 이년초로 한국의 남동부 해안지대와 제주도에서 자생한다. 본 식물은 대규모 조경지역 특히, 척박한 토양이나 비탈면 언덕에 유용한 지피식물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주걱쑥부쟁이 종자의 지역계통과 수확시기에 따른 최적 발아온도를 선정하기 위해 최초로 수행하였다. 지역별 온도에 따른 종자발아 반응은 다음과 같다. 최종발아율(FG)은 구룡포산(産)(89.7%)이 4개 지역계통 중에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좌산(産)(87.3%), 감포산(産)(87.3%), HKNU-I (71.5%) 순이었다. 지역별 평균 T50은 구좌산(産)(3.6 일)과 구룡포산(産) (4.0일)이 타 지역에 비해 짧았다. 온도별 평균 FG와 T50은 20℃에서 각각 76.2%와 3.6일로 가장 우수하였다. 그 다음으로 30℃, 25℃, 15℃순이었다. 그러나 구좌산(産)의 경우, FG과 T50이 20℃와 15℃에서 우수하였다. 수확단계 및 온도관계에서 수확단계별 평균 FG는 Stage III (90.7%)와 Stage IV (88.6%)가 Stage II(35.7%)와 Stage I(26.0%)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수확단계별 평균 T50은 Stage IV (3.7일)과 Stage III (4.3일)로 FG값이 50%이하를 보여준 타 수확단계에 비해 짧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걱쑥부쟁이 종자는 모든 단계에서 발아할 수 있었기에 종자 수확 가능범위는 Stage I 에서 IV까지였다. 결론적으로 주걱쑥부쟁이 종자발아의 최적 온도와 적정 수확단계는 20℃ 조건에 Stage III에서 IV 까지이었다.

영문 초록

Heteropappus arenarius Kitam., an autumn-flowering biennial belonging to wild chrysanthemums, is found to be native in southeastern coastal area and Jeju island of Korea. It could play a good role for ground cover plants on a large-scale landscape area, especially, barren soil or sloping hillside.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creen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influenced by local strain and harvesting stage of H. arenarius. The following was the response of seed germination between local strain and temperature. The average of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FG) was the highest in Guryongpo (89.7%) among four local strains, followed by Gujwa (87.3%), Gampo (87.3%), and HKNU-I (71.5%). The average of T50 was shorter in Gujwa (3.6 d) and Guryongpo (4.0 d) than the others. The average of FG and T50 was the highest as 76.2% and shortest as 3.6 d in 20℃, respectively, followed by 30℃, 25℃, and 15℃. In case of Gujwa , however, FG and T50 was higher in 20℃ and shorter in 15℃ than ot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vesting stage and temperature, the average of FG was greatly higher in Stage III (90.7%) and Stage IV (88.6%) than the others including Stage II (35.7%) and Stage I (26.0%). The average of T50 was shorter in Stage IV (3.7 d) and Stage III (4.3 d) than the others, which showed less than 50% of FG. Nevertheless, the available range of seed harvesting stage was from Stage I to Stage IV because H. arenarius seeds could germinate at all stages.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and harvesting stage was 20℃ and Stage III~IV , respectively, for seed germination of H. arenarius.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희(Chang Hee Lee),남기웅(Ki Woong Nam). (2009).온도에 따른 자생 주걱쑥부쟁이의 종자발아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 (2), 116-122

MLA

이창희(Chang Hee Lee),남기웅(Ki Woong Nam). "온도에 따른 자생 주걱쑥부쟁이의 종자발아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2.2(2009): 116-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