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vironment Factors for Germination, Growing and Storage of Sprout Vegetables of Coreopsis tinctoria Nutt.,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and Matricaria recutica L.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이무열(Moo Yeul Lee) 신소림(So Lim Shin) 장영득(Young Deug Chang) 이철희(Cheol He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22권 제2호, 136~14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생초, 각시취 및 저먼케모마일의 종자를 15~30℃에서 각각 명조건과 암조건으로 20일 동안 발아시킨 결과 기생초는 15℃, 암조건에서 4일 후에 83.0%, 각시취는 25℃, 명조건 20일 후에 51.7%, 저먼케모마일은 25℃, 암조건에서 4일 후에 90.3%의 발아율을 보였다. 발아된 종자를 암조건에서 길이생장을 시킨 결과 기생초는 30℃에서 5일, 각시취는 25℃에서 6일, 저먼캐모마일은 20℃에서 6일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3종 모두 녹화처리시 길이생장이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으나, 기생초와 각시취 새싹채소는 길이생장이 억제되는 대신 부피생장 이 왕성한 특징을 보였다. 녹화처리에 대한 생육반응은 각기 다르게 나타나 기생초는 녹화 3일, 각시취는 2일이 적합하였으며, 저먼케모마일은 녹화처리를 하지 않고 출하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3종 모두 수확 후 밀봉되는 용기에 포장하는 것이 수분 감소량을 억제시키면서 오래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에 따라 온도와 통기구의 유무에 따른 수분 감소량 및 갈변 억제 등 품질 유지에 다양한 반응을 보이므로, 판매 형태 및 주기에 따라 저장환경을 달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Germination tests on 3 species that have potential for use as sprout vegetables, such as Coreopsis tinctoria, Saussurea pulchella, and Matricaria recutica, were conducted for 20 days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of 15~30℃, and conditions of light and dark. C. tinctoria showed germination of 83% under 15℃ and dark condition after 4 days, S. pulchella 51.7% under 25℃ and light condition after 20 days, and M. recutica 90.3% under 25℃ and dark condition after 4 days. To investigate optimum plantlet size before greening treatment, seeds germinated were allowed to grow under darkness. The optimum growth of C. tinctoria was obtained under 30℃ after 5 days, S. pulchella under 25℃ after 6 days, and M. recutica under 20℃ after 6 days. Greening treatment resulted in diminished longitudinal growth, but C. tinctoria and S. pulchella showed more vigorous latitudinal growth. Days required before marketing as sprout vegetab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pecies - Three days of greening was good for C. tinctoria, 2 for S. pulchella, no greening for M. recutica. Generally, tightly sealed containers for minimum water loss were recommended for storage of sprout vegetables after harvest. However, storage methods for each spec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like temperature of storage, presence of ventilation holes of storage packages and forms of marketing. More detailed research for above 3 species is proposed.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방풍 구조물 설치에 따른 옥수수 화분 비산 및 교차수분 저감 효과 연구
-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micropropagated fire blight-resistant apple rootstocks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LOCUS T and TWIN SISTER OF FT floral integrator genes in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