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피부 미백 효과

이용수  14

영문명
Skin Whitening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Sprout
발행기관
한국자원식물학회
저자명
유슬기 박선경 강진용 김종민 박상현 권봉석 이창준 강정은 박수빈 이욱 허호진
간행물 정보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0권 제4호, 352~36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순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in vitro 미백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EFAT는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여 뛰어난 총 폴리페놀 함량(246.25 ㎎ GAE/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303.94 ㎎ RE/g) 을 나타내었으며, ABTS,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assay 및 MDA 억제 활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EFAT는 α-glucosidase 억제 활성에서 41.93 ㎍/㎖의 IC50 값을 나타내었으며, L-DOPA를 기질로 이용한 tyrosinase 억제 활성의 IC50은 438.67 ㎍/㎖로 tyrosinase의 산화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16/F10 melanome 세포에서 α-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을 200 ㎍/㎖의 농도에서 108.04%로 높은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EFAT는α-glucosidase 억제 효과를 통한 tyrosinase의 glycosylation 을 저해 작용과 tyrosinase의 가역적인 산화반응 저해를 통한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EFAT 의 생리활성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HPLC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chlorogenic acid와 rutin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EFAT는 자외선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발생되는 멜라닌의 생합성저해 효과를 통하여, 미백 기능성을 함유한 향장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어진다.

영문 초록

To investigate skin-whitening effect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sprout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 were examined. Total phenolic content (246.25 ㎎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303.94 ㎎ RE/g)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Adenophora triphylla sprout (EFAT) showed the highest contents than other fractions (n-hexane, chloroform and distilled water). Antioxidant activities of EFAT has been evaluated using AB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AP and inhibitory effect of lipid peroxidation. EFAT showed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MDA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s a major enzyme of melanin synthesis was also measured. In these results, EFAT showed higher inhibitory effect against L-DOPA (51.27%) than L-tyrosine. IC50 value on α-glucosidase was 41.93 ㎍/㎖. In B16/F10 melanoma cells, EFAT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t 200 ㎍/㎖ concentration (about 42% decrease). Finally, main physiological compounds of EFAT were identified as a rutin and a chlorogenic aci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슬기,박선경,강진용,김종민,박상현,권봉석,이창준,강정은,박수빈,이욱,허호진. (2017).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피부 미백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0 (4), 352-363

MLA

유슬기,박선경,강진용,김종민,박상현,권봉석,이창준,강정은,박수빈,이욱,허호진. "잔대(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의 피부 미백 효과."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0.4(2017): 352-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