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식거리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수수자원의 분얼발생 및 생장 특성

이용수  0

영문명
Effect of Planting Distance and Seeding Date on the Tiller Occurrence, Growth Characteristics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Resources
발행기관
한국자원식물학회
저자명
한태규 윤성탁
간행물 정보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0권 제4호, 427~43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재식밀도 및 파종기 이동이 수수의 분얼발생 및 생육·수량에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계화 수확을 위한 분얼양상 및 생육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 재식밀도에따른 분얼경수는 조간 60 ㎝보다 80 ㎝에서 많았으며, 주간거리가 30 ㎝로 늘어날수록 증가하였다. 유효경비율은 조간 60 ㎝가80 ㎝보다 높았으며, 주간거리가 15 ㎝에서 30 ㎝로 늘어날수록감소하여 재식밀도가 낮아질수록 분얼경수가 증가하였으며, 유효경비율은 감소하였다. 파종기 이동에 따른 수수 3품종 분얼경수는 5월 2일 파종기(1차)에서 가장 높았으며,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분얼경수가 감소하였으며, 유효경 비율은 5월 23일(2 차)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다. 품종별로는 황금찰이 분얼경수가1.2개로 가장 많았으며, 목탁수수가 0.8개로 가장 적었다. 재식밀도에 따른 수수의 출수소요일과 성숙소요일은 유의한 차이가없었으며, 밀식할수록 간장은 증가하였으나 수장, 수당립수, 천립중 모두 감소하였다. 수량은 재식밀도 60×20 ㎝에서 가장높았다.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출수소요일, 성숙소요일, 간장및 경직경은 감소하였으나 수장과 수당립수는 증가하였다. 주경의 천립중과 수당립수는 6월 13일(3차)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량은 5월 2일(1차) 파종기에서 가장 많았다.

영문 초록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iller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sorghum according to planting distance and sowing date.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get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uneconomical and cumbersome for mechanical harvesting. Also another object was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istance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area. Total number of tillers was more in 80 ㎝ ridge than 60 ㎝ ridge and it was increased as the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 ㎝ to 30 ㎝ on the each ridge.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higher in 60 ㎝ ridge than 80 ㎝ ridge and it was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 ㎝ to 30 ㎝. The lower the planting distance,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whereas effective tillers was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high. Average of total number of tillers of three varieties was higher in sowing date of May 2 (1st sowing date), whereas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the highest in sowing date of May 23 (2nd sowing date). Hwanggeumchal showed the highest total number of tillers (1.2 tillers), while Moktaksusu had the lowest total number of tillers (0.8 tillers) among three varie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ing distance and days to heading and ripening date from seeding. Culm length in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high, but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e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yield of sorghum per 10a was obtained from 60×20 ㎝ planting distance among 6 planting distance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태규,윤성탁. (2017).재식거리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수수자원의 분얼발생 및 생장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0 (4), 427-434

MLA

한태규,윤성탁. "재식거리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수수자원의 분얼발생 및 생장 특성."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0.4(2017): 427-4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