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력구조조정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7
- 영문명
- The Effect of Downsizing on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김정교(Kim, Jeong-gyo) 차정화(Cha, Jeong-hwa) 김하은(Kim, Ha-eun)
- 간행물 정보
- 『회계정보연구』제38권 제2호, 101~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최근 우리나라 제조업은 내수 부진과 경기침체로 수익성 악화를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 기술의 진보는 생산을 위한 인력 수요를 감소시키고 있다. 기업의 효율성을 제고 하고 수익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구조조정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 전략으로 간주 되지만, 인력구조조정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는 개선성과에 대하여 상반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비효율적 인적자원관리 부작용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 제조업 기업을 대상으로 인력구조조정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나라 제조업 기업을 대상으로 전년도 대비 5%이상 인력을 감축한 기업을 인력구조조정 기업으로 정의하고, 인력구조조정 기업과 성향점수가 유사한 PSM 대응표본을 구성한다. 인력구조조정과 내무성과 간의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2단계 최소 자승법 (2SLS)을 사용하여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력구조조정을 수행한 기업은 1년 후, 2년 후, 그리고 3년 후 자기자본영업이익률의 개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이 나타났다. 또한 매출원가율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값이 나타났다. 또한 인력구조조정의 규모가 클수록 재무성과 개선에 유의한 양(+)의 값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력구조조정이 재무성과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며, 이러한 개선에는 기업의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인력구조조정의 규모가 클수록, 즉 적극적인 인력구조조정이 재무성과의 개선에 더욱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 인력구조조정이 재무성과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결과는 인력구조조정이 비용감소를 통해 기업의 효율성을 제고 하려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지에 대해 실증증거를 제시함으로써 현재 수익성 악화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 제조업 기업들의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Restructuring to improve corporate efficiency and restore profitability is considered an essential strateg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but prior studies on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restructuring have presented conflicting opinions on improvement performance. In order to find side effects and solutions to in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downsizing on financial performance for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from 2000 to 2015.
[Methodology] From 2000 to 2015, companies that have reduced their labor force by more than 5%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for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are defined as downsizing companies. In addition, a sample of PSM corresponding to the propensity score is formed with a downsizing company. The two-stage least squares method (2SLS) is used to control the endogeneity between downsiz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Findings] In the case of companies that have undergone downsiz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value was found in the improvement of the gross return of equity after 1 year, 2 years, and 3 years. In addition, a negative valu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change in the cost of sales ratio. In addition, the larger the size of the downsizing, the more positive values were found in improving 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pport the claim that downsiz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financial performance, suggesting that these improvements increase efficiency by reducing corporate costs. Also, active downsizing is more positive for improving financial performance.
[Implications] The results that downsiz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financial performance provide proof of whether human resource restructuring achieves its intended goal of improving corporate efficiency through cost reduct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are currently experiencing profitability deterio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사원 결산검사에 따른 국가재무제표 오류유형 분석 및 개선방안
-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경영자보상에 대한 기업수명주기의 효과
- 경영권 집중화 수준과 감사인 선택 그리고 회계품질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상속세 가업상속지원 과세제도의 개선방안
- 테마감리의 효과
- 감사인의 규모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의 의견불일치간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
- 인력구조조정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산업특성을 고려한 기업소득 환류세제의 도입효과
- 핵심감사제 도입과 기업지배구조
- 연구개발 집중도가 연구개발비의 원가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지배기구와 외부감사인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법인세부담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성 인증의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인증기준과 인증보고서를 중심으로
-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시가 적용의 개선방안: 평가기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