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비전의 속성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비전소통 및 행동정체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이용수  571

영문명
Vision attributes on performance: A moderated moderation model of vision communication and behavior identification
발행기관
대한리더십학회
저자명
김정훈(Jung-Hoon Kim) 송진구(Jin-Gu Song)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1권 제4호, 35~7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많은 기업들은 변화를 이끌고, 지속성을 높이기 위하여 비전을 설정하고 비전소통을 하고, 비전 달성을 위하여 조직 구성원들을 동기부여 한다. 특히 최고경영자는 비전과 미션을 통하여기업의 장기적 모습과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중간 리더는 최고경영층에서 만들어진 조직비전 전파라는 중요한역할을 부여 받는다. 기존 연구에서는 리더의 비전소통의 중요성을 확인하거나 필요성을 강조한연구는 많이 있으나, 비전이 어떠한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효과적이거나, 비전 소통이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다 양한요 소를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실정 이다. 따라서본 연구에서는 비전의 속성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이 어떠한태 도를 보이는지와, 비전속성과 종업원들의 태도 간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7 가지 비전 속성 및 비전소통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주요 가설로는 7 가지 비전 속성과 성과간의 직접효과와 비전속성과 태도간의 관계에서 비전소통과 종업원들의 행동정체성의 조절된 조절모형에 대하여 설정하였다. 가설입증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시 공통방법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료 원천를 다각화 했다. 총 219 팀을 대상으로 팀장에게는 비전소통을 그리고 팀원에게는 결과변수와 행동정체성에 대하여측정하였다. 그리고 팀원이 작성한비전문 에 대하여 조직행위론을 전공한 박사 3인이 7 가지 비전속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가설 1> 직접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가설 2> 조절된 조절효과를 위해서는 Hayes(2013)이 제시한 process macro modeling 중 model3 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7 가지 비전속성이 두드러질수록 구성원들의 비전만족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전속성과 해석수준의 상호작용에 의한조 절된 조절효과를 실증한결과 2개의 성과변수들 중 비전만족도에 대하여 조절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황별 비전소통의 효과를 분석한결과 , 구성원들이 행동정체성이 낮고, 비전소통이 제대로되지 않은 경우만 비전속성이 효과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나머지 상황에서는 모두 비전속성이 긍정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기여하는 바를 기술하였고, 연구의 한계를 통한 개선사항과 향후연구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two primary purposes,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ion attributes on vision satisfaction and motivation. secondly to explore how moderated moderation of vision communication and behavior identification influence on relationship between vision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bout vision attributes, vision communication, construal-level, behavior identification and et al..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up as follows. : Vision communication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vision satisfaction. : Vision communication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motivation. : Vision communication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conditional influence of behavior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attributes and vision satisfaction. : Vision communication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conditional influence of behavior identif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on attributes and motivation.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mpirically tested based on data from two types of questionnaires involving 219 teams(manager and 1 employee) in Korean organizations. the leaders measured vision communication and employee measured vision behavior identification and attitudes. The team leader wrote the vision statement to which he belonged, and three doctors who majored in organizational behavior evaluated the vision attributes. Vision communication was measured using 4 items developed specifically for organization change stage by Jang, Chang & Kim(2006). Behavior identification was measured using the behavior identification form developed by Vallacher and Wegner(1989). We measured vision satisfaction using 4 items made with reference to Pearce and Ensley(2004), Collier, Fishwick, and Floyd (2004). Vision attributes was measured using scales suggested by Baum et al.(1998) and Kantabutra(2009). We modified scales developed by Marco, Mirjam, & Kees(2005) to measure motiva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we have used multiple regression with control valuables and process macro suggested by Hayes(2013).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how the following. First, vision attributes has positive effect on follower’s vision satisfaction. secondly, three way moderation-interaction moderates between vision attributes and vision satisfaction.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nditional, when vision communication is low and behavior identification is low, vision attributes has a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motivation and enthusiasm. The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of the research are described,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훈(Jung-Hoon Kim),송진구(Jin-Gu Song). (2020).조직비전의 속성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비전소통 및 행동정체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리더십연구, 11 (4), 35-70

MLA

김정훈(Jung-Hoon Kim),송진구(Jin-Gu Song). "조직비전의 속성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비전소통 및 행동정체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리더십연구, 11.4(2020): 3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