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Help on Turnover Intention: A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Grit and Employee Engagement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김지영(Jiyoung Kim) 김우철(Woocheol Kim)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5권 제3호, 69~9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여 경력개발이 필수가 되어버린 현대사회에 개인의 경력에 대한 조직의 관리 및 지원의 필요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그릿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조직경력관리지원이 이직의도로 연결되는 매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00인 이상의 구성원이 있는 조직의 직원 4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이직의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도출되지 않았다. 둘째,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으나 가설에서 설정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조직경력관리지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d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help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employee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A total of 489 complete responses from Korean organizat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help was not statistically and negatively significant to turnover intention. Second, even though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help and turnover intention, its direction was opposite. Third, employee engagement ha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help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academic/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상생 방안 탐구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