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라ㆍ가야 고분 교차편년
이용수 1,254
- 영문명
- Cross-Chronology of Ancient Tombs in Shilla and Gaya Periods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저자명
- 홍보식(Hong, Bo-sik)
- 간행물 정보
- 『영남고고학』제70호, 192~222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라ㆍ가야 고분 편년은 삼국시대 영남지역 사회를 동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짜여져 왔지만, 합치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역연대 차이는 제쳐두더라도 교차편년 설정에도 각자 편년에 유리한 자료만을 취사 선택해서 객관적인 편년망 구축에 문제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신라ㆍ가야 고분의 편년틀 구축의 주요 고분 출토 토기를 비교하여 교차편년을 시도하였다. 교차편년 결과, 4세기는 부산 복천동 57호묘와 대성동 Ⅱ-24호묘, 함안 황사리 도굴갱ㆍ35호묘는 같은 단계, 대성동 2호묘와 복천동 54ㆍ69ㆍ1(동)호묘, 황사리 1ㆍ32ㆍ48호묘는 같은 단계로 교차편년이 되었다. 5세기 이후는 부산 복천동 39호묘와 합천 옥전 23호묘 출토품은 같은 단계이고, 복천동 53호묘와 함안 도항리 10ㆍ20ㆍ27호묘가 같은 단계, 황남대총 남분과경산 임당 7B호분, 창녕 계남 1ㆍ4호분, 김해 대성동 73호분, 합천 옥전 M2호분이 같은 단계로 편년할 수 있었다. 황남대총북분, 고령 지산동 32호분, 옥전 M1호분ㆍ31호묘, 김해 예안리 36호묘, 창녕 교동 3ㆍ1호분이 같은 단계, 옥전 M3호분과 지산동 44호분이 같은 단계, 지산동 45호분, 옥전 M7ㆍM4호분과 부산 연산동 58호묘, 경주 인왕동 협성주유소부지 14ㆍ15호묘, 영일 냉수리고분, 고성 송학동 1A-11호 석곽ㆍ1B호 석실은 같은 단계로 교차편년 되었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ancient tomb chronology of Shill and Gaya Periods has been woven by many researchers using a method to dynamically explain Yeongnam Region societ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are some parts that do not match. Apart from the difference of historic era, some problems have been revealedin building objective chronology network by selecting data favorable to each one’s chronology in terms ofcross-chronology setting. This study tried objective and cross-chronology targeting the pottery excavated frommajor ancient tombs in building the chronology framework of ancient tombs in Shilla and Gaya Periods. As a result of cross-chronology, Busan Bokcheon-dong No. 57 Tomb, Daeseong-dong No. II-24 Tomb andHaman Hwangsa-ri Dogulgang(Tomb Theft Pit) and No. 35 Tombs were chronicled as the same period in the4th century. Daeseong-dong No. 2 Tomb, Bockcheon-dong No. 54, 69 and 1 (DongA University) Tombs andHwangsa-ri No. 1, 32 and 48 Tombs were also cross-chronicled as the same period in the 4th century. After the5th century, the excavated articles from Busan Bockcheon-dong No. 39 Tomb and Hapcheon Okjeon No. 23Tomb were chronicled as the same stage. Bockcheon-dong No. 53 Tomb and Haman Dohang-ri No. 10, 20 and27 Tombs were chronicled as the same stage. The South Tomb in Hwangnam Great Tomb, Gyeongsan ImdangNo. 7B Tomb, Changnyeong Gyenam-ri No. 1 and 4 Tombs, Gimhae Daeseong-dong No. 73 Tomb and HapcheonOkjeon No. M2 Tomb were also chronicled as the same stage. The North Tomb in Hwangnam GreatTomb, Goryeong Jisan-dong No. 32 Tomb, Okjeon No. M1 and 32 Tombs, Gimhae Yean-ri No. 36 Tomb andChangnyeong Gyo-dong No. 3 and 1 Tomb were cross chronicled as the same period. Gyeongju Inwang-dongHyeopsung Gas Station Site No. 14/15 Tomb, Yeongil Naengsu-ri Ancient Tomb, Goseong Songhak-dong No.
목차
Ⅰ. 서언
Ⅱ. 교차편년 현황과 전제
Ⅲ. 교차편년 자료 검토 및 편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