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統一新羅式기와의 成立과 造瓦體制의 變化
이용수 799
- 영문명
- Establishment of Unified Silla Style Roof Tile and Changes of Roof Tile Production System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저자명
- 崔英姬(Choi Yeong-hee)
- 간행물 정보
- 『영남고고학』제70호, 262~300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新羅의 三國統合에 따른 정치적ㆍ사회적 변화는 建築資材인 기와에도 투영되며, 우리는 그것을 ‘統一新羅式기와’라 命名한다. 본 글은 統一新羅式기와 成立의 의미를 瓦當文樣과 製作技術의 측면에서 再考하고, 造瓦體制의 변화양상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우선, 보편적이지만 편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古新羅式기와와 統一新羅式기와의 개념에 대해, 수막새와 평기와로 나누어 재설정하였다. 統一新羅式수막새는 施文범위가 확대되어 外區(周緣部)에도 문양을 갖는 것, 統一新羅式평기와는 이른 바 中板타날구(一體製作式Ⅱ)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한정하였다.
영문 초록
Political and social change by Silla(新羅)’s unification of three nations(三國統合) has appeared by being reflectedon the change of archaeological data. Roof tile(瓦), also, is one of them, which we call it as ‘Unified Silla style(統一新羅式) roof tile’. In case of unified silla style(統一新羅式) convex tiles,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initial mould style(初現型式) convex tiles, used in the building of which foundation year(創建年代) is recognizable,the researcher could determine that various patterns were designed within relatively short period. Notablepoint is, the structure of mould(范型) which imprinted roofend tile had no change from the case of old style(古式) convex tiles, which show difference from the pattern and technique of Chinese Tang. Therefore, it can beconfirmed that the purpose was not the change of pattern along with inflow of technology, but the creation(創出) of new patterns. This proves that there was a recognition on the symbolization of ‘pattern’ from the nationaldimension. Also, it is important that the convex tiles of the same designw ere produced in several workshops.
목차
Ⅰ. 머리말
Ⅱ. 古新羅式기와와 統一新羅式기와의 槪念設定
Ⅲ. 統一新羅式수막새의 檢討
Ⅳ. 統一新羅式평기와의 檢討
Ⅴ. 新羅 造瓦體制의 變化
Ⅵ. 맺는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