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ody Art(바디 아트), Art Makeup(아트 메이크업), Body Painting(바디페인팅), Buddha(부처), Buddhist Art in the Unified Silla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연서(Yeon-Seo Lee) 김연아(Yeon-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1권 제3호, 311~3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2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odern society, with its coexistence of diverse culture, it is a process of genuine cultural development to remember the beauty of the traditions in our cultural heritage and allow it to continue to evolve through art and cultural exchange and creative work. The truth and concept of religion are invisible in our daily lives. To expose it, help from art is needed. Buddhism, in which people realize truth on their own, samsara, and the redemption of all people are recognized as the highest values, has long been entwined with the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the era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Buddhism was beyond a mere religion and was an official state religion. Since it wa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ountry’s fate, Buddhist temple-related fine arts flourish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images of Buddha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of Buddhist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Buddhist ar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suggested new styles of both Korean and modern ambivalence by expressing pictorial element-applied design through body painting in a torso mannequin style. It is expected that these works would offer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 meaning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by expressing the Buddhist art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It is also anticipated that they would be available as art and aesthetic cultural contents in a creative and diverse fash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작품제작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유르베다 체질유형에 따른 피부미용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 미용기능장의 인식 및 개선 방안
- 헤어살롱 종사자의 직무수행이 임파워먼트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염모제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 및 세포독성 연구
- 반영구화장사의 감염관리 지식이 실천수준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여성의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
- 회화적 요소를 응용한 바디아트 디자인 연구
- K-뷰티 화장품의 위기 분석과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 폐모발과 에폭시 레진을 활용한 동·식물문양의 헤어아트 제품 개발
- 네일 국가기술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네일숍 현장에서의 직무활용성 및 자격증취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앵포르멜 회화의 조형적 특성을 모티브로한 헤어아트분석
- 장기간 마스크 착용이 피부미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뷰티산업 종사자의 핵심역량이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30대 국내여성의 손톱 사이즈 측정을 통한 네일 팁 사이즈 제안
- 원산지별 그린커피빈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증 비교 연구
- Text Network Analysis를 활용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연구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 미용종사자들의 연령에 따른 자가스트레칭, 건강증진행위 및 두피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 무운산 추출물 함유 트리트먼트의 모발 보호 효능
- 미용학과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적용 실태조사
- 왁싱미용 기술자격제도에 관한 인식 조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