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군인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및 특성분석
이용수 229
-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Military Personnel - Focused on Military Family House Residents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노영호(Nho, Young Ho) 김승희(Kim, Seung Hee)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57호, 105~1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는 자주 근무지를 옮기는 직업군인의 주거 안정을 위해 군 주거복지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노후한 기존 군관사의 재고량이 많고 관사 건립예산도 많이 소요되어 재정부담이 크다. 더구나 지출되는 예산이나 노력에 비해 군관사에 거주하는 군인들의 주거만족도가 높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국의 군관사 거주자를 대상으로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변수로 군관사의 군집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으로 군관사에 거주하는 직업군인 4,712명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 영향요인과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국의 군관사를 4개 군집으로 유형화하였고 군관사 유형별로 주거만족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각 군집별로 주거수준, 접근성, 지역사회요인, 전반적 주거만족도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군관사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은 접근성 > 주거수준 > 지역사회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군관사의 접근성이 좋다면 주거수준이 미흡해도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는 높고, 반대로 접근성이 낮으면 주거수준이 높아도 주거만족도는 낮아지는 원인을 이번 연구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stabilize the housing of military personnel who frequently move their work places, the government-led military housing welfare policy is under the initiative of the government, but the financial burden is high due to the large inventory of old military family houses and the high cost of building new houses. Moreover, personnel residing in the military are less satisfied with their housing compared to the budget and efforts spent. Based on a large-scale survey of military personnel nationwide, as a result of 4,712 respons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military personnel and the corresponding satisfaction level by the type of cluster. As a result, military personnel across the country were categorized into 4 clust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sidential and policy satisfaction levels was identified by the type of clusters. In consequ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residential level, accessibility, community, comprehensive housing satisfaction for each clus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개발 투자요인이 투자 만족도와 재투자 의도에 미치는 요인분석
- 토지시장의 교섭에 관한 고찰
- 지식산업센터 지원시설이 업무지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개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아파트거주자의 구매결정요인이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
- 상업용지 입찰금액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군인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및 특성분석
- 친환경교통지구 활성화를 위한 구조형성 요인분석
- 개업공인중개사의 직업존중감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 가족의주거 스트레스 영향요인
- 소매기업의 장기성과와 추월전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