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루크막 개방 기반 시신경유두 지표들을 이용한 시신경테 너비 규칙의 적용성
이용수 1
- 영문명
- Applicability of ISNT Rule Using Bruch s Membrane Opening-based Optic Nerve Head Parameter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현섭(Hyun Sup Choi) 박성표(Sung Pyo Park) 나경익(Kyeong Ik Na)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8, 921~92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정상안과 녹내장안을 구별하기 위해 브루크막 개방(Bruch’s membrane opening, BMO) 기반 시신경유두 지표들을 이용한 ISNT 규칙의 적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정상안 41안과 개방각녹내장 62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신경 사진에서 측정한 시신경테두께, Bruch’s membrane opening-minimum rim width (BMO-MRW), BMO-MRW average, Bruch’s membrane opening-minimum rim area (BMO-MRA)의 4가지 지표에서 시신경의 상측, 하측, 비측, 이측에 해당하는 값을 분석하였다. 정상안과 녹내장안에서 각각의 지표를 이용한 ISNT 규칙의 부합 여부를 조사하고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정상안과 녹내장안에서 각각 시신경 사진에서 측정한 시신경테두께, BMO-MRW, BMO-MRW average를 비교하였을 때 상측, 하측, 이측, 비측 모두 시신경 사진에서 측정한 시신경테두께가 가장 컸다(p<0.001). 네 가지 지표를 이용한 ISNT 규칙의 부합 여부를 비교한 결과 민감도는 시신경 사진보다 BMO-MRW average와 BMO-MRA가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82.3% vs. 98.4%, p<0.05; 82.3% vs. 95.2%, p<0.05). 특이도는 4가지 지표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기존의 시신경 사진을 이용한 ISNT 규칙에 비해 BMO 기반 시신경유두 지표들을 이용한 ISNT 규칙은 정상안과 녹내장안 감별에 더 높은 진단력을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ISNT rule (neuroretinal rim thickness order: inferior > superior > nasal > temporal) when using Bruch s membrane opening-based optic nerve head parameters to discriminate between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41 normal eyes and 62 open-angle glaucoma eye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neuroretinal rim thickness values corresponding to the superior, inferior, nasal, and temporal sides of the optic disc as measured using color stereo optic-disc photographs, Bruch’s membrane opening-minimum rim width (BMO-MRW), the BMO-MRW average, and Bruch’s membrane opening-minimum rim area (BMO-MRA).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ISNT rule in differentiating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were compared across the four methods.
Results: In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measuring neuroretinal rim thickness in color stereo optic-disc photographs produced larger values for the superior, inferior, nasal, and temporal sides compared to measurements using BMO-MRW and the BMO-MRW average (p < 0.001). With respect to ISNT rule compliance using the four methods, the sensitivities of the BMO-MRW average and BMO-MRA method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hen disc photographs were used (82.3% vs.
98.4%, p < 0.05; and 82.3% vs. 95.2%, p < 0.05, respectively). Specific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four methods.
Conclusion: BMO-based optic nerve head parameters exhibited higher diagnostic power for differentiating between normal and glaucomatous eyes based on the ISNT rule, compared with the classic method of using disc photograph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쥐에서 마이봄샘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의 비교
- 제1형 Chiari기형에서 발생한 급성후천내사시 2예
- 당뇨황반부종에서 장기간 당화혈색소 변동성과 유리체내 주사 효과와의 상관관계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양막이식술과 마이토마이신C를 병행한 섬유주절제술의 단기 임상성적
- 결막점액성기질종양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안구생체계측과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 예측의 비교
- 안와염증에 동반된 급성망막괴사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을 동반한 중증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
- 펨토초라식수술과 스마일수술 전후의 대비감도 단기간 임상결과
-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후 발생하는 기능적 실패에 대한 치료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유리체황반견인증후군의 자연 소실
- 일차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안구표면염색점수와 침샘 신티그래피
- 브루크막 개방 기반 시신경유두 지표들을 이용한 시신경테 너비 규칙의 적용성
- 토포라이저 바리오를 이용한 각막굴절력검사의 신뢰도 연구
-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장기 착용이 소아 근시에서 안축장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눈물샘에 발생한 아포크린땀샘낭종
-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포도알균 효과
- 군날개의 노화 관련 표지자 발현과 세포노화 확인
- 회복기 색소침착을 보이는 비전형적 소실성다발백반증후군
- 위눈꺼풀처짐을 보인 결막과 눈꺼풀판 국소아밀로이드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