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1형 Chiari기형에서 발생한 급성후천내사시 2예
이용수 3
- 영문명
-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ssociated with Chiari I Malform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윤영인(Young In Yun) 정재호(Jae Ho J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1,number8, 977~981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저자들은 급성후천일치내사시로 의뢰된 환자 중 제1형 Chiari기형이 급성후천일치내사시의 원인이었던 두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5세의 여자 환자가 1주일 전 갑자기 발생한 수평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시 발현 1주일 전 두통, 현기증, 오심을 호소하였다고 한다. 모든 방향에서 내사시각은 일치하였으며 양안에 외전장애는 없었다. 안저검사상 양안 시신경유두의 부종 소견을 보였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소뇌 편도 탈출 소견이 관찰되어, 제1형 Chiari기형으로 진단하고 신경외과로 의뢰하였다. 12세의 남자 환자가 1주일 전 갑자기 발생한 수평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3개월 전 현기증과 실신의 과거력이 있었다. 일치내사시 소견을 보였으며 안운동의 제한은 없었다. 뇌 자기공명영상검사상 경도의 소뇌 편도 탈출 소견을 보여 제1형 Chiari기형으로 진단하였다. 양안내직근후전술 시행 후 복시 증상은 해소되었다.
결론: 급성후천내사시 환자에서 시신경유두부종, 두통, 실신과 같은 신경안과적인 징후나 증상이 있는 경우 두개강내 신경학적 이상을 의심하고 면밀한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port two cases of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our clinic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ACE) and were then diagnosed with a Chiari I malformation.
Case summary: A 15-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cute diplopia for one week. She complained of headache, dizziness, and nausea one week before the onset of diplopia. The angles of esodeviation were concomitant in all directions of gaze, and no limitation in abduction was observed. Fundus photographs showed bilateral papilledema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cerebellar tonsillar herniation. She was diagnosed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ssociated with Chiari I malformation and was referred to the Neurosurgery Department for consideration of decompression surgery. A 12-year-old male presented with an acute onset horizontal diplopia for one week. He had a history of dizziness with syncope three months prior to his visit. He had comitant esotropia in all directions of gaze without any limitation of ocular movemen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cerebellar tonsillar herniation and he was diagnosed with acute acquired comitant esotropia associated with Chiari type I malformation. He was treated with bilateral medial rectus muscle recession surgery to correct esotropia and he had no diplopia after the surgery.
Conclusions: When a patient presents with AACE,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neurological symptoms/signs such as headache, syncope, or papilledema, a full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prompt neuroimaging are warranted to rule out Chiari I malformation.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쥐에서 마이봄샘의 빛간섭단층촬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의 비교
- 제1형 Chiari기형에서 발생한 급성후천내사시 2예
- 당뇨황반부종에서 장기간 당화혈색소 변동성과 유리체내 주사 효과와의 상관관계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양막이식술과 마이토마이신C를 병행한 섬유주절제술의 단기 임상성적
- 결막점액성기질종양
-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안구생체계측과 백내장수술 후 굴절력 예측의 비교
- 안와염증에 동반된 급성망막괴사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을 동반한 중증 위아래눈꺼풀판겉말림
- 펨토초라식수술과 스마일수술 전후의 대비감도 단기간 임상결과
-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후 발생하는 기능적 실패에 대한 치료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유리체황반견인증후군의 자연 소실
- 일차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안구표면염색점수와 침샘 신티그래피
- 브루크막 개방 기반 시신경유두 지표들을 이용한 시신경테 너비 규칙의 적용성
- 토포라이저 바리오를 이용한 각막굴절력검사의 신뢰도 연구
- 각막굴절교정렌즈의 장기 착용이 소아 근시에서 안축장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눈물샘에 발생한 아포크린땀샘낭종
- 연옥이 첨가된 콘택트렌즈 보관용기의 항포도알균 효과
- 군날개의 노화 관련 표지자 발현과 세포노화 확인
- 회복기 색소침착을 보이는 비전형적 소실성다발백반증후군
- 위눈꺼풀처짐을 보인 결막과 눈꺼풀판 국소아밀로이드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